시각장애(맹) 교육
맹
원리(Lowenfeld): 구체적 경험, 실천학습, 통합경험
*시각장애확대핵심교육과정: 시각장애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할 지식과 기술로 구성된 교육과정
점자교육
*약자를 사용하는 이유: 점자 읽기와 찍기 속도 증가, 점자책 부피 줄이기
1. 모음 다음에 "ㅖ"가 올 때는 그 사이에 붙임표 36
2. 우애, 소화액: 초성 ㅇ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ㅣ와 ㅐ가 혼동되므로 ㅐ가 쓰인 단어에서는 붙임표 36점을 찍어준다.
예) 위: 134, 1235/ 우애: 134, 36, 1235/ 소화액: 6, 136, 245, 1236, 36, 1235, 1
3. 가, 사 는 약자로, 라, 차 는 반드시 ㅏ를 써주어야 한다.
4. 나이: ㅏ가 들어간 글자에 받침이 없고 따라오는 글자의 초성이 ㅇ인 경우 ㅏ를 뺄 수 없다.
4. 팠: ㅏ를 쓰지 않으면 폐로 읽히므로 145, 126, 34 모두 표기한다.
3. 엉: 약자 영은 초성 ㅅ, ㅆ, ㅈ, ㅉ, ㅊ 다음에서 엉으로 읽힌다.
5. 쭈그리고, 찡그리고: 약어 앞에 다른 음절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약어로 적지 않는다.
6. 영어: a~j까지는 1~0까지와 동일, k~t는 a~j까지의 점 기호에 3점 추가, u~z는 a~e까지의 점 기호에 36점 추가, w는 예외
7. 숫자: 숫자 다음에 ㄴ, ㄷ, ㅁ, ㅋ, ㅌ, ㅍ, ㅎ, 운이 올 때는 숫자와 한글을 띄어 쓴다.
8. 숫자에 이어 붙임표 뒤에 나, 다, 마, 카, 타, 파, 하가 번호로 오면 ㅏ를 생략하지 않는다.
9. 수의 자릿점을 표시하는 반점은 2
10. 붙임표 뒤에서 줄이 바뀔 때 숫자가 다시오는 경우 수표를 다시 적는다.
11. 자음자가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로 쓰일 때는 온표와 종성으로 표기하고 온점을 찍지 않고 띄어쓴다. 예) ㄱ. 유아: 123456, 1, , 146, 126
12. 대문자는 대문자 기호 6으로 표현, 단어 전체가 대문자 일때는 대문자기호를 두 번 찍어 준 다음 해당 단어 기록
보행교육
1) 방향정위: 지각-분석-선별-계획-실행
*방향정위 구성요소: 지표(랜드마크), 단서, 번호체계, 측정, 나침반 방위,
친숙화 과정(트레일링과 자기보호법을 활용한 둘레파악법과 수직횡단파악법), 인지지도
2) 이동기술:
단독이동 | 자기보호법, 트레일링, 신체정렬법 |
안내법 | 기본 안내법, 좁은 길 통과하기, 계단 오르내리기, 문 통과하기, 의자에 앉기 |
흰지팡이 | 이점촉타법, 대각선법/ 지팡이 잡는 법, 손목운동, 지팡이 터치법, 발과 리듬맞추기, 계단, 문, 사물, 보관 |
안내견보행 | 빠른 속도와 자신감, 안전보다 방향정위에 집중, 사회적 접촉과 상호작용, 관리 어려움 |
교수공학
: 화면읽기프로그램, 광학문자인식프로그램(OCR), 광학문자판독기, 옵타콘, 점역프로그램, 점자정보단말기,
점자도서, 녹음도서, 전자도서, 점자프린터, 점철, 점판, 점간, 점필, 기타보조구
시각장애확대핵심교육과정
: 시각장애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지식과 기술로 구성된 교육과정
보상기술, 기능적 기술, 방향정위와 이동기술, 사회기술, 생활기술, 레크리에이션/여가기술, 공학, 시기능훈련, 진로교육, 전환 등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