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불머리 2018. 1. 6. 06:53

1. 교사의 온정과 ____, 교사의 편견, 학습동기(외재적, 내재적)


전 고려대 교수였던 임규혁에 따르면 교사가 학습동기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열정과 교사의 온정과 감정이입(empathy) 그리고 교사의 기대 등이 중요하다고 한다. 특히 온정(Warmth)은 교사가 학생들을 인간으로서 대우하고 관심을 보여주는 능력이며, 감정이입은 학생들의 느낌과 그들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다.


피그말리온 효과

요약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

로젠탈효과, 자성적 예언,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이름에서 유래한 심리학 용어이다. 조각가였던 피그말리온은 아름다운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여신() 아프로디테(로마신화의 비너스)는 그의 사랑에 감동하여 여인상에게 생명을 주었다. 이처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심리학에서는 타인이 나를 존중하고 나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으면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변하려고 노력하여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교육심리학에서는 교사의 관심이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이 된다는 것을 말한다.

1968년 하버드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과 미국에서 20년 이상 초등학교 교장을 지낸 레노어 제이콥슨(Lenore Jacobson)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한 후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한 반에서 20% 정도의 학생을 뽑았다. 그 학생들의 명단을 교사에게 주면서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의 향상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라고 믿게 하였다.

8개월 후 이전과 같은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명단에 속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다. 뿐만 아니라 학교 성적도 크게 향상되었다. 명단에 오른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교사가 학생에게 거는 기대가 실제로 학생의 성적 향상에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두산백과)


특정행동을 하게 되는 이유 또는 계기를 동기라고 하는데 이러한 원동력은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에 의해 일어난다. 학습동기는 이러한 동기의 일종으로 특정 과제를 학습하려는 추진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학습동기란 학습자가 학습동인(learning drive)을 가지고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정한 학습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도록 만드는 요인이다. 즉 학습동기는 학습을 하는 이유나 계기라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는 내적 · 외적 조건에 의해 유발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상 등에 의한 외적 동기유발 요인과 긍정적 자아효능감의 형성과 같은 내적 동기유발이 균형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학습동기 [學習動機, Learning Motivation] (HRD 용어사전, 2010. 9. 6., (주)중앙경제)



2. 방어기제 5가지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

요약 자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여, 감정적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 의식이나 행위를 가리키는 정신분석 용어.

이 말은 1894년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논문 《방어의 신경정신학》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방어기제는 자아와 외부조건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에 적응하도록 하여 인간의 심리 발달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갈등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속이고 관점만을 바꾸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부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방어기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부정, 억압, 합리화, 투사, 승화 등의 방법이 일반적이다.

부정은 외적인 상황이 감당하기 어려울 때 일단 그 상황을 거부하여 심리적인 상처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황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극단적인 경우에 잘 나타난다. 억압은 불쾌한 경험이나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욕구, 반사회적인 충동 등을 무의식 속으로 몰아넣거나 생각하지 않도록 억누르는 방법이다. 억압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므로 의도적인 망각과는 차이가 있다. 본능적인 충동이나 금지된 행위는 억압을 통하여 노골적인 행동을 자제하게 된다.

합리화는 상황을 그럴 듯하게 꾸미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하여 자아가 상처받지 않도록 정당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스스로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을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럴 듯한 이유를 붙임으로써 자존심이 손상당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 것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합리화는 대부분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어떤 것을 이루기 어려울 때 그것의 가치를 낮추는 것과,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을 인정해야만 할 때 그것의 가치를 높이는 두 가지 경향으로 나타난다. 또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므로 거짓말이나 변명과는 다르다.

투사는 자신의 감정이나 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돌려서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을 미워하여 해치고 싶은 충동을 느꼈을 때 자신의 증오심을 상대에게 떠넘겨 그 사람이 자신을 미워해서 해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투사는 자신의 욕구나 문제를 옳게 깨닫는 대신 다른 사람이나 주변에 탓을 돌리고 진실을 감추어 현실을 왜곡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어기제이다.

승화는 반사회적 충동을 사회가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성적 충동은 누드를 그린다거나 관능적인 춤을 추는 것 등을 통해서 사회가 인정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것이 승화이다. 공격적 충동은 권투나 야구, 축구와 같은 공격적인 스포츠를 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防禦機制] (두산백과)



3. 긍정적 행동지원


http://blog.daum.net/jhwhee/69

긍정적 행동지원(PBS) 학교차원 장기지원

3차 예방

특수화된 중재: 개별학생

5%

2차 예방

집단중재: 위험집단

15%

1차 예방

보편적 중재: 학교, 학급

80%

 

학교-가족-지역사회 지원: 학생, 학교, 가정, 지역사회

 



4. 사회성 기술교수 방법 5가지

사회성 기술

[ , social skills]

인간관계 및 주어진 사회 환경에서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생활적응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회생활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반응들, 즉 상호 간에 긍정적인 효과를 산출하고, 유지하고, 증가시킬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구체적인 행동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성 기술은 일상생활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대인 관계 관련 기술, 자신과 관련된 행동, 학업 관련 행동, 또래 수용, 대화기술, 자기주장의 요인 등이 사회성 기술에 포함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성 기술 [社會性 技術, social skills]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




5. 응용행동분석, 기능평가

긍정적 행동 지원은 행동이론과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al analysis, ABA)의 원리에 기초하며(Sugai & Horner, 2006), 기능적 행동 평가는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모든 행동은 그것이 적절하든 부적절하든 동일한 행동원리를 따르며, 행동에는 목적(기능)이 있고, 환경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Scheuermann & Hall, 2008). 응용행동분석에서는 행동의 형태보다는 행동의 기능(function)에 더 관심을 두는데, 예를 들어, 머리를 계속해서 벽에 박는 자해행동과 물건을 던지고 부수는 공격적 행동은 겉모습은 달라도 주변사람들의 주의를 끌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지녔을 수 있다.이 두 가지 문제행동이 상당히 달라 보이긴 하지만, 필요한 개입방법은 동일하다.

기능적 행동 평가는 행동의 기능을 결정하기 위해 선행사건(antecedents), 행동(behavior), 후속결과(consequences)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체계적 방법으로, 먼저 (1) 문제행동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문제행동의 발생 및 미발생을 예측하는 선행사건과 문제행동을 유지하는 후속결과를 기술하여 가능한 가설을 도출한 다음, (2) 가설을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학교 장면에서는 흔히 학생기록, 행동적 인터뷰, 행동평정척도 등의 간접적 평가와 직접 행동관찰을 통해 수집한다. (3)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문제행동의 기능을 확인하고, 문제행동을 둘러싼 선행사건과 후속결과 등 환경적 조건을 변화시켜 문제행동을 제거할 뿐 아니라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키는 긍정적 대체행동을 고안하여 이를 강화하는 행동지원계획(behavioral support plan)을 개발한다(Merrell, Ervin, & Gimpel, 2008; Sugai et al., 2000).

[네이버 지식백과] 학교 차원 긍정적 행동 지원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6. 2015 교육과정 개정내용


1)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은 다음과 같다.

2)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다만, 1, 2학년은 체험 활동 중심의 안전한 생활을 포함하여 편성운영한다.

3)

4) 교과의 내용을 대신하여 생활기능 및 진로와 직업 교육, 현장 실습 등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그 영역과 내용은 학생의 장애 특성 및 정도를 반영하여 학교가 정한다.

   교과의 내용을 대신하여 관련 생활기능 영역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으며, 그 영역과 내용은 학생의 장애 특성 및 정도를 반영하여 학교가 정한다.

5)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