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놀이심리

9/19 [놀이치료특강] 아동중심 놀이치료

꼬불머리 2020. 3. 4. 13:19

Q. 기존의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사고?

* 따라가주는 게 아동중심은 아니다.

  0. 어떻게? 방법? 기본은 어디?

  1. 아동중심은 무엇인가.

  2. 기법들: Here and Now, 이것 저것 그것 - 이론 바탕

 

A. 생각의 변화

  - 힘이 있는 아동은 스스로 변화한다.

온전히 아동에게 매체와 환정을 주어주는

치료사의 공감과 수용 → 수동적? 정서 아동에게 맞춰진 치료?

  - NO. 치료사의 이해력이 높아야 한다

A. 부모들의 선입견

  -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시끄러운 치료? 무엇을 치료? 놀면 되는 것 아닌가? 무조건적 신뢰?

→ 프로토콜의 이해와 설명 필요

A. 앞서나가지 않는 미묘한 반응들

A. 이것 저것 그것: 명칭생략은 상상력을 더한다.

A. 아동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생존 본능에 의해 심지어는 문제행동에도.

  - 아동중심에만 국한 되는 내용이 아니라 전반적인 치료에 필요한 생각

A. 상담 vs 놀이치료

  - 비밀유지 → 대상 따라 다르다

  - 부모교육 → 절대적 비밀? 알권리? 무엇이 우선인가. 동의와 약속에 의한.

  - 상담기법의 사용

** A. Rogers에서 Axline으로. 인간을 어떤 존재로 보는가.

  - 아동에게 힘(자기실현,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이 있다.

  - 관계 자체가 치료!

  - 아이에게는 성장에 대한 욕구(고유한 특성, 기질, ....) 가 있다.

  ☞ 아이 입장에서 무엇이 필요한가 생각하는 관점

  ☞ 새(백조)가 물장구 쳐서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

  - 치료사의 이해, 인식, 수용이

  - 역할이 결코 미미하지 않다.

  - 아이의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가?

* Rogers 촉진적 환경 3가지(뒤에 다시 나옴)

  1. 조화, 진정성: 조절하는 힘, 있는 그대로 일치성, 아이에게 올인, 이해와 공감

  2.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

  3. 공감적 이해

 

 

* 1940s Axline: 로저스의 인간중심이을 아동중심놀이치료의 구조로 조작화

인간중심원칙, 비지시적인 놀이치료, 관계가 치료

 

* 관계가 바로 치료이다 - Landreth(2012)

** 1940년대: 가장 오래된 정신 건강 개입 중 하나

* Rogers(1951) 인간중심이론

* Virginia Axline(1947) 비지시적 놀이치료

 

이론적 구성

 

* 인간에 대한 가정

  1. 개인적인 현실에 대한 최고의 결정자. 인간의 지각적 영역은 현실이다.

  2. 조직화된 전체(감정-인지-행동)로서 행동한다.

  3. 자기의 독립, 성숙 향상을 향해 노력한다.

  4.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데 있어서 목표지향적인 방식으로 행동한다.

  5. 합리적 사고에 영향을 주는 기분(정서)에 의해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

  6. 자기개념에 일치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7. 자기개념과 모순되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8. 위협에 대해 경직된 행동으로 반응한다(부적응, 경직, 경계)

  9. 자신이 위협에서 자유롭다면, 자기와 모순되는 경험의 자각을 인정한다.

인간과 성격발달의 자기실현적 본성

    정서, 사고, 행동의 역할

    존재의 자기 향상적 방식의 발달 또는 결여

  에 대한 설명

 

* 모든 아동에게는 자기 구조, 정서, 행동의 성장과 향상을 향해 움직이려는 타고난 경향성이 존재한다.

* 각 아동은 고유한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인간이며, 자기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변화를 온전히 만들 수 있는 인간이다.

  - 아동이 자기를 구성해 가는 것은 발달 전체의 지각적 영역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 아동이 특정한 환경에 놓이거나 환경을 위협적으로 지각할 때, 자기에 대한 경직된 관점을 지키기 위해 행동과 정서가 발생하고 자기향상을 향한 전진은 손상될 것이다.

* 치료사의 역할은 성장에 대한 장벽을 제거하는 환경을 만들고, 아동이 자신의 자기 실현적 경향을 작동시킬 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 발달에 대한 관점과 함의

  1. 아동은 촉진적인 관계와 환경이 제공될 때 자기향상을 향해 나아갈 것 → 무조건적 믿음, 발달보다 정서에 초점, 비판x, 평가x

  2. 아동의 행동과 정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동이 자신의 세계를 어떻게 보는지를 이해하는 것 → 공감

  3. 환경 내에서 아동과 타인의 관계는 아동이 자신과 타인을 보는 관점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4. 아동의 내적 세계를 수용하는 환경과 관계를 치료사가 제공하고 아동이 지각할 수 있을 때, 아동은 자기 향상의 통합과 기능을 향해 나아간다.

 

* 비지시성과 Landereth(2012): 아동이 가고자 하는 곳으로 이끄는 것은 내적인 균형을 향한 아동의 본능적인 노력이다(성장동기). → 아동 그 자체에 초점

  아동을 지지하고, 아동의 실제 세상에서 장벽을 제거하도록 돕고, 변화가 일어나기 위한 관계를 함께 하는 것

 

* 건설적인 성격변화를 위한 작업, 치료적 변화를 위한 6개의 필요 충분 조건

  1. 두 사람이 심리적인 접촉을 갖는다.

  2. 내담자는 부조화의 상태에 있다.

  3. 치료사는 관계에서 조화(건강)로운 상태이다.

  4. 치료사는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수용을 경험한다.

  5. 치료사는 내담자의 내적 참조의 틀(주관적인 틀)에 대한 공감적인 이해를 경험하고, 내담자와 이 경험에 대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6. 치료사의 공감적인 이해무조건적인 긍정적 수용에 대해 내담자에게 의사소통하는 것이 적어도 최소한으로는 이루어진다.

 

* 치료사의 태도 조건

  1. 치료사의 조화상태

: 치료적 관계 내에서 자유롭게 자기 자신이 되고, 경험과 자기자각 사이에 조화를 경험하는 능력

 치료사의 자기자각, 자각에 대한 수용, 아동에게 자각을 적절히 표현하는 것

 아동에게 진정으로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과 공감적 이해를 표현하려면 조화로운 상태에 있어야 한다.

 → 진정성 ex) 아동이 때려서 치료사가 맞았을 때: 진정성 있는 행동은 "기분나빠", "아프다"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

 → 진정성 있는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과 공괌적 이해가 가능하려면? 조화로운 상태, 알차고, 힘이 있어야

  2.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 판단이나 평가 없이, 따뜻하게 수용

  3. 공감적 이해: 치료사가 자기감을 잃지 않은 상태에서 마치 자신의 것인 것처럼 아동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

 : 자기감을 잃지 않음: 자기인식을 유지 → 당당하게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중심

  내 것을 버린다 ex) 승부욕 강한 치료사와 내담자 → 승부욕을 버리는 치료사

*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건의 성취는 아동의 수용성receptivity에 달려 있다.

 

*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구조의 8가지 기본 원칙

  1. 치료사는 가능한 빨리 아동과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를 발전시킨다.

  2. 치료사는 아동이 어떤 면에서든 다르기를 바라지 않고, 정확히 있는 그대로를 수용한다.

  3. 치료사는 관계에서 허용되는 기분을 느끼도록 하여 아동이 생각과 기분을 완전히 표현하도록 한다.

  4. 아도이 행동에 대한 통찰을 얻도록 돕기 위해 치료사는 아도으이 기분을 조율하고 이를 아동에게 다시 반영한다.

  5. 치료사는 선택하는 책임을 아동에게 남겨 놓은 채로, 문제를 해결하는 아동의 능력을 존중한다.

  6. 치료사는 아동의 행동이나 대화에 지시를 하지 않고 옿려 아동을 따라간다.

  7. 치료사는 치료적 과정의 점진적인 본성을 인식하면서 치료를 서두르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8. 치료사는 아동을 현실에 있도록 하거나 관계에서 책임을 자각하게 만들 때에 한해서만 한계를 설정한다.

 

*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기술

  1. 기분 반영: 너는 슬프구나

  2. 내용 반영: 너는 친구랑 싸웠구나

  3. 행동 추적: 너는 그것을 저쪽으로 옮기고 있어

  4. 의사결정 촉진: 네가 결정할 수 있어

  5. 창의성 촉진: 그것 네가 원하는 대로 무엇이든 될 수 있어

  6. 격려: 넌 열심히 하는구나

  7. 관계 촉진: 네가 나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내가 알았으면 하는구나

  8. 제한 설정: 나를 때리는 건 안돼

 

* ACT 3단계 치료적 제한설정 모델

  1. 기분을 인정하기

  2. 제한을 설정하고 이해시키기

  3. 대안을 제공하기

 

* △: 질문, 지시, 분석

* 놀이치료의 목적: 발달적으로 적절한 수준에서 아동을 만나기 위해 비언어적으로 의사소통 하는 것

 

 

 

참고도서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편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953901

 

놀이치료 1

▶ 놀이치료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bo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