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0 [검사도구] 발달검사
* 유아 및 아동 발달이 매우 중요한 만큼 발달 과저앙 장애 혹은 지체를 보이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거나 진단하여 조기 교육 및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개별 아동의 현행 발달 수준과 강약점을 파악해야 한다.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아동의 발달 영역
: 인지, 신체, 의사소통, 사회 및 정서, 적응행동
1. 한국형 Denver II
- 발달선별검사 → 다시 진단 받아야 한다, 비교x
* 검사실시
1) 연령계산: 검사날짜 - 생일
ex) 2002.6.20. - 2002.4.1. = 2.19.
** 조산의 경우 조산(6주 = 1개월 2주)만큼 더 빼주어야 한다.
ex) 2.19. - 1.14. = 1.5.
2) 연령선 그리기
- 해당 나이에 연령선 그리기, 위에 검사날짜 기록
** 연령선 근처의 검사부터 수행
** 어릴수록 변화가 많다.
3) 검사지 기록하기
P | 수행한 것. |
F | 실패, 못함. |
No | 수행기회가 없었음, 수행에 제한. |
R | 수행 거부. |
** 위쪽으로 실패 항목 3개 나오면 멈춤 → 실패 의문? 3번의 기회.
4) 검사해석
** 월등한 항목: 항목 왼쪽에 연령선, P
** 정상항목: 항목 왼쪽에 연령선, F, R /또는/ 항목 위에 연령선, P, F, R
** 주의항목: 색깔안에 연령선, C표시 하기
** 지연항목: 항목 오른쪽에 연령선, F, R, 막대 오른쪽 끝에 굵은 선 색칠
5) 전체검사 해석
** 정상 발달: 주의항목이 1개 이하, 지연항목 없음
** 의심스러운 발달: 주의항목이 2개 이상, 지연항목이 1개 이상, 1~2주 이내 재검사
** 검사불가능: 연령선 왼쪽 항목에서 1개 이상의 R이나 주의지점에서 2개 이상의 R, 1~2주 이내 재검사
** 의뢰 기준: 재검사 결과가 다시 의심이나 검사불가능으로 나올 때
2. 영유아발달선별검사 KCDR-R
- 부모나 양육자가 영유아의 발달, 건강, 행동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발달 기능과 수준을 평가
- 선별검사
- 검사자가 부모에게서 획득한 정보, 검사자가 관찰한 아동에 대한 정보
- 통합하여 아동의 발달 기능과 요구를 평가하는 검사도구
1) 구성
① 부모질문지 KCDR-R 부모질문지 예.jpg
- 부모보고형 질문 6개: 아동과 부모의 관계 문제 유무, 문제나 염려의 원인, 주요 문제 파악에 대한 것
- 문제항목 25개: 건강, 발달 기능, 행동에 대한 부모의 염려사항
② 영유아발달표 KCDR-R 영유아발달표 예.jpg
- 5개 척도: 사회성, 자조행동,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언어 영역
2) 검사실시
① 부모질문지
- OK 문제 없음, ? 문제가 있을 수 있음, P 문제가 있음
② 영유아발달표
- 아동의 정확한 생활연령 계산
- 연령의 70%에 해당하는 연령선(준거선)을 찾아 선 긋기
- 검사는 발달척도별로 아동의 나이 바로 아래 있는 문항부터 시작
- √ 규칙적으로 빈번하게 관찰, B 요즘 시작했거나 이따끔 보이는 행동
3) 결과해석
- 정상발달: 연령 경계선에 인접하거나 상회하는 발달
- 경계선발달: 연령 경계선 상에 있는 또는 약간 위에 있는 발달
- 지연발달: 연령 경계선 이하 발달(연령 발달 수준의 70%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