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특수교육

청각장애 아동의 청능훈련

꼬불머리 2017. 8. 8. 16:48

1. 개념
: 잔존청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하는 방법, 언어를 지각하고 청각적 단서를 충분히 이용하도록 가르치는 과정

2. 목표: 의사소통 능력의 최대화
가. 음을 지각하고 음에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안다.
나. 보청기 착용에 익숙해진다.
다. 청각자극에 유의하는 습관을 길러 청취능력을 발달시킨다.
라. 언어, 독화, 발어의 보다 나은 발달을 도모한다.
마. 환경의 음을 이해하고 환경과 연함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 정서의 안정과 사회성 발달을 도모한다.
사. 음의 세계에 적응하도록 한다.
아. 전반적 언어 발달을 돕는다.

3. 청능훈련 4대원리
: 청각기술수준, 자극단위, 활동유형, 난이도

1) 청각기술수준

음의 이해

 음성언어자극을 의미있게 이해

음의 확인

 자극음이 무엇인지 인식

 사물에 이름이 있음을 인식

음의 변별

 청취할 음의 동일성, 차이성 인식

음의 인식

 음의 유무, 음의 의미 인식


2) 자극단위

분석적 접근

 음절, 음소 등 말 신호의 분절적 요소 중심 → 음성적 수준

종합적 접근

 발화의 의미를 인식하기 위한 학습 → 문장 수준

적용

 위 두 가지 방법을 구분하기 보다는 연속적으로 이해하고 적용


접근법

분석적 방법

 말을 보다 작은 요소로 나누어 청능훈련 후 통합

종합적 방법

 구문, 문맥단서, 의미있는 자극 활용.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 효과를 높임

화용적 방법

 대화시 필요한 정보와 의사소통 변인(말의 수준, 신호음 대 소음 비율, 맥락과 복잡성)을 통제하는 훈련 강조

절충적 방법

 위의 전략들의 결합

의사소통 접근법

 대화에서의 성공적인 화용 강조


3) 활동유형

형식적 훈련

 체계적 내용으로 활동 구조화. 반복적. 강화의 사용

 - 더 변별하기 어려운 수준의 제시

 - 다양한 화자와 말하기 훈련

 -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많은 훈련

 - 비음성 훈련 자극은 언어이전기 아동에게 짧은 기간 사용

 - 분석적, 종합적 수준의 자극 포함

 - 반응 양식이 닫힌 상황에서 열린 상황으로 진행

 - 매일 10~15분 형식적 청능훈련

 - 형식적 훈련 목표는 비형식적 훈련 목표 추구

 - 훈련 활동은 매력적이고 흥미로워야

비형식적 훈련

 일상속에서, 구조화되지 않은 학교상황, 대화장면, 기타교과 학습 시 자연스럽게


4) 난이도
친숙한 표현/일반 구 → 한 가지 지시/두 가지 지시 → 교실수업 → 순차적 세 가지 지시 → 중다요소 지시 → 하나의 이야기 속 3가지 사건 → 이야기 질문에 답하기 → 이해활동/소음상황 연습 → 의성어

더 쉬움

자극/상황

더어려움

 

폐쇄형

자극 형태

개방형

 폐쇄형, 제한형, 개방형

단어

자극 단위

완전한 문장

 단어, 구, 문장

상이함

자극의 유사성

유사함

 맥락적 유사성

높음

맥락/상황

낮음

구조적

과업

자발적

 구조적, 자발적

양호함

신호음/소음의 비

열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