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놀이심리

9/27 [검사도구] 투사검사

꼬불머리 2019. 11. 17. 16:31

1. HTP 집-나무-사람 검사

 1) 개요

   - 신뢰도, 타당도가 부족한 검사 → 뒷받침, 가설적 → 분석 심리학

   - 장점: 의도적 방어가 어렵다. 현상에 대한 지각을 알 수 있다.

   - 가족, 성격, 자기-지각 및 태도/ 뇌손상이나 전반적인 신경학적 기능의 평가 일부분

 2) 실시

   - 3세 이상 아동부터

   - 준비물: A4용지, 연필, 지우개

   - 검사실시 첫 단계에서 수검자는 연필로 집, 나무, 사람을 A4요지에 각각 그리도록 요청받는다. 

   - 검사자는 초시계를 갖고 수검자의 수행시간을 측정하면서 그림을 다 그리는 데 걸린 시간 기록

  (1) 집: 용지방향 가로

  (2) 나무: 세로

  (3) 사람: 세로

   * 수검자의 말을 그대로 기록한다.

 3) 해석

  * 전반적인 인상, 직관적으로 관찰되는 부분, 수검자의 말과 행동을 모두 평가한다.

   (1) 수행 시간 및 수검 태도

    - 시간이 짧은 경우: 무성의, 회피, 성급, 충동적

    - 시간이 오래 걸린 경우: 특별한 의미, 갈등 유발, 불안, 초초, 지나진 정확성을 가하려는 강방적 태도(완벽주의), 낮은 동기 수준, 정신운동속도의 저하(우울)

   (2) 순서

    - 비전형적 순서: 현실검증력 저하, 사고장애

    - 이성을 먼저 그림: 성정체감이나 성역할에 대한 갈등, 특정 이성에 대한 심리적 비중이 큼

   (3) 크기

    - 심신 에너지 수준, 충동성, 자신감, 자기상, 자기지각

    - 큰 그림: 에너지 항진, 충동성, 행동화 경향, 과도한 자신감, 자아 팽창적인 과대 사고, 반동형성(자신에 대한 열등감, 부적절감에 대한 보상)

    - 큰 그림에 대한 임상적 평가: 조증/경조증 삽화, 반사회적 성격, 뇌손상, 지적장애

    - 작은 그림: 위축감, 무력감, 지나친 자기 억제, 불안감, 열등감, 부적절감, 검사 상황에 대한 회피적, 방어적 태도

    - 작은 그림에 대한 임상적 평가: 우울감

   (4) 위치

   (5) 선(필압)

    - 진하고 강한 선: 강한 자신감, 충동성, 공격성, 높은 수준의 심신 에너지, 극도의 긴장감, 불안감

    - 흐리고 약한 선: 낮은 에너지 수준, 무력감, 위축감, 부적절감, 불안, 억제된 상태

    - 긴 획: 단호함, 안정감, 야심에 찬

    - 짧은 획: 쉽게 흥분, 충동

    - 스케치하듯 이어나감: 신중함, 우유부단함, 소심함, 불안정감



2. SCT 문장완성검사: 일련의 미완성된 문장

3. TAT: 흑백 그림카드 30장, 백지카드 1장

4. CAT: 표준판 카드 9장과 보충판 카드 9장

5. 로흐샤흐: 잉크반점카드 10장

6. KFD: 빈 용지에 가족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을 그림


== 참고자료==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