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놀이심리 39

초기 면접 시 물어봐야 할 내용

1. 사정 신상정보 이름 연령 의뢰자 연락처 현재문제 무엇이? 왜 지금? 발생시기/빈도/심각성 언제부터? 환경에 미친 영향 시간의 경과와 변화 아동의 지각 양육자의 지각 준비도 아동과 어떻게 이야기? 발달사 임신 출산 시 출산 후 주 양육자 신체 언어 신변 사회성 영유아기 아동기 가족력 배경 관계 역동 행동관찰 첫인상(외모) 활동성 언어 정서 태도 관계 인지과정 추정인지발달수준 지남력 기억력/집중력 판단력 통찰력 사고의 조직화 환각/망상 외상의 증후 주관적 경험 자기개념 세상에 대한 시각 세 가지 소원 현실검증 위험한 행동 자해/파괴 자살 공격/폭력/방화 성 아동 현재 기능의 종합적 평가 발달 인지(지능/핵심믿음) 정서(유형/목록/범위/현실성) 역기능 반응목록 진단검사 지능검사 사회성숙도 검사 정서검사 ..

치료놀이 이론과 기법

Q. 아이가 왜 거부적인가 A. 생리적 욕구, 심리적 욕구, 애정, 인정 등 -> 저항하고 있구나(아동중심) -> 저항에 맞서라(치료놀이) -> 필요한 것을 주면서 인정(상호작용) * Bowlby(1969/1982)의 애착이론 기반 * 부모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녀의 많은 행동문제는 고려해야할 기본적인 관계 문제가 있다. * 문제를 가진 모든 연령의 아동에게 유용하다. 이론과 연구 * 치료놀이 치료목표: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인 내적 작동 모델, 자기조절 능력, 사회적 기술, 학습 능력, 정신건강 핵심개념 * 관련이론과 연구: 애착, 두뇌발달, 치료적 변화를 이끄는 요소들 1. 상호작용적이고 관계에 기초를 둔다 * 안전을 위해 가까이 머무르고자 하는 욕구 * 의미있고 즐거운 유대감을 나누고자 하는 욕구 ..

치료놀이 개론

* 기본목표: 공감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부모-자녀 관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 * 구성요소: 구조화, 도전, 간섭, 양육, 즐거움 - 즐거움: 전체적으로 즐겁고 자발적이며 명랑한 분위기에서 진행 ** 한 개 이상 구성요인의 즐거운 활동에 초저을 맞추고 부모 아동 간에 능동적이고 정의적인 관계를 창출 1. 이론적 배경 01. 발전배경 1. 치료놀이의 모델 * Austin DesLauiers: 정신병, 자폐증 아동 대상 * 1930s 정신분석: 과거의 측면에서 아동의 소망, 두려움, 충동을 아동에게 해석 * Axline 비지시적 놀이치료: 감정은 반영하지만 해석은 없음 * DesLauiers: 신체 접촉 및 중재적 접촉 강조 ** 인간적인 모습을 고려해서 정신질환이 있는 아동에게 강제로 어떤 일을 하게 하는 ..

아들러학파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편 제3장 p.69~91) 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놀이치료사는 다양한 문제를 드러내는 아동에게 지시적기법과 비지시적 기법을 조합하여 개입한다. 치료사는 아동이 새로운 지각, 태도, 행동을 발달시키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치료사가 내담자와 그 가족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어떻게 체계적으로 개입하는지 살펴본다. 치료사는 이론적 개념에 기반하여 내담자의 이슈를 개념화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 주요개념을 포함하는 핵심적 기본 개념, 내담자 개념화에 적용되는 이론적 틀에 대해 논의한다. 놀이치료는 네 단계로 진행된다. ① 초기 관계형성 ② 내담자의 생활양식 탐색 ③ 내담자가 자신의 생활양식에 대한 통찰을 형성하도록 도움 ④ 치료사가 내담자의..

아들러 학파 놀이치료 개론

1. 이론적 배경 01. 인간관 * 사회적 동기 * 목표지향적 - 선택, 책임, 삶의 의미, 자기 실현 *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을 창조하는 능력이 있다. ** 인간은 - 사회적으로 소속되고 - 목표지향적 - 주관적 - 전체적인 시각으로 보아야 하는 독창적인 존재 1. 인간은 사회적으로 소속된다. 1) 소속감을 확립하는 방법 * 첫 번째 집단은 가정 2.) 소속감과 생활방식 * 소속감을 확립하는 방법은 아동의 생활방식이 되어서 - 아동이 자신, 다른 사람, 세상을 보는 눈이 된다. * 이웃, 학교 * 고정관념, 심리적 틀 3) 소속감과 사회적 관심 *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의 태도 - 다른 사람에 대한 동일시, 공감 - 다른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 듣는 것, 느끼는 것 등으로 등식 성립 * 삶..

인지행동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

인지행동놀이치료 CBPT Susan Knell; 인지행동치료 모델을 어린 아동에게 확장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의 역사 Aaron Beck 감정-사고-행동 간의 상호작용 기분-사고/인지-행동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삼각형 사용; 인지 삼 요소 비합리적이거나 부적응적인 사고가 고통과 연관된 신념을 구성한다. 어린 아동에게는 사고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적합하다. 행동치료= 조작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형성+사회학습이론 조작적 조건형성 행동적 전략: 수반성 관리, 자기관리, 행동조성, 타 행동 차별강화, 자극쇠퇴 및 소거 인지행동치료= 인지치료+행동치료 놀이 언어적 인지행동치료는 발달 수준에 따라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인지적 과정: 환상/가상, 상징, 조직화, 확산적 사고 감정적 과정: 정서의 표..

인지행동 놀이치료 개론

* Campbell 인지행동 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에게는 부적절하다 * Knell 처음 시도 * Ellis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 Beck 인지치료 1. 소개 - 1980 이후 보다 구조화되고, 직접적인 기법의 놀이치료 소개 01. 인지행동치료 * 구조적이고 개인적인 사고와 지각을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동을 변화 * 치료의 효과라는 측면에서 의문 제기 * 가설검증, 대안 찾기, 문제해결 ** 행동주의 기법 1. 부모를 통해 아동을 치료 2. 아동에게 직접 적용 - 부모-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 숙달감의 발달을 억제했거나 - 부모에게 반감을 갖고 있는 아동에게 효과적 * 놀이 내용 속에서 행동적 기법 사용: 숙달감 획득 → 자기관리 수준 향상 → 행동을 규정하는 학습에 대한 흥미 향상 → 효과적으로 ..

행동주의 놀이치료 개론

(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132~149) * 행동수정, 행동치료 - 개인의 행동을 변화 - 행동변화에 도달하기 위해서 현재 하고 있는 행동부터 목표행동까지의 단계를 확실하게 거치도록 - 행동지향적인 방법 1. 이론적 배경 * 정신분석적 접근에 대한 반작용 * 1950~1960 초반 - 1950 후반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 - 1970 심리치료와 교육학의 중요세력 - 1980 전통적인 학습이론을 넘어 새로운 개념과 기법, 감정에도 관심 * 세 영역: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인지치료 - 고전적 조건형성: Pavlov, Watson 흰쥐실험, Wolpe 공포치료, Hull 학습이론 - 조작적 조건형성: Skinner 학습이론 - 인지치료 01. 인간관 * 관찰할 수 있는 외현적 행동 분석 * 환..

9/19 [놀이치료특강] 아동중심 놀이치료

Q. 기존의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사고? * 따라가주는 게 아동중심은 아니다. 0. 어떻게? 방법? 기본은 어디? 1. 아동중심은 무엇인가. 2. 기법들: Here and Now, 이것 저것 그것 - 이론 바탕 A. 생각의 변화 - 힘이 있는 아동은 스스로 변화한다. 온전히 아동에게 매체와 환정을 주어주는 치료사의 공감과 수용 → 수동적? 정서 아동에게 맞춰진 치료? - NO. 치료사의 이해력이 높아야 한다 A. 부모들의 선입견 -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시끄러운 치료? 무엇을 치료? 놀면 되는 것 아닌가? 무조건적 신뢰? → 프로토콜의 이해와 설명 필요 A. 앞서나가지 않는 미묘한 반응들 A. 이것 저것 그것: 명칭생략은 상상력을 더한다. A. 아동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생존 본능에 의해 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