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77~93)
1. 정서
* 6~9세의 정상 또는 지능이 높은 아동도 감정을 묘사하는 데 한계가 있다.
**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감정,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함께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양가감정x).
→ 인지 발달적 제한이 있다(Harter).
** 전조작기: 직관적, 자기중심적, 보존개념x, 분류과제x (인지적 한계)
*** Harter의 세 단계
두 개의 감정이 나타날 수 있음을 그냥 부정 |
두 가지 감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을 처음 인정 |
양가감정을 동시에 개념화 |
*** 정서 원자가: 긍정이든 부정이든 원자가
*** 정서의 목표: 두 개의 감정이 동시에 같은 목표 또는 서로 다른 목표에 초점
** 정서 원자가+목표= 4가지 가설적 발달계열
유사한 원자가의 감정이 같은 목표를 향한다. | 동의적인 정서, 모순이 없는 느낌, 여러 가지 감정의 혼합 |
유사한 원자가의 감정이 다른 목표로 향한다. | 정서들이 덜 유사할 수록 다른 목표를 향하는 것이 어렵다. |
원자가가 다른 감정이 서로 다른 목표를 향한다. | 종종 동시성을 이해할 수 없다. |
원자가가 다른 감정들이 같은 목표로 향한다. | 까다로운 관계는 동시에 동일한 대상을 향해 긍정과 부정을 함께 갖는다. |
* 아동의 생활에서 중요한 사람에 대해 실무율적으로 생각(흑백논리처럼)하는 아동, 정서라는 동전의 양면성을 인정하지 않는 아동을 놀이치료에서 자주 만난다.
* 아주 어린 아동은 두 개의 감정이 일어난다는 것을 거부한다.
* 인지적 결함이 없다면, 자신에게 다양한 감정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능력이 있을 때, 대립되는 감정의 인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
** Harter의 연구를 이해하려면, 아동의 자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2. 자아
* Keller
3~5세 아동 | 행위 기술 | 야구를 좋아한다, 걸어서 학교에 간다 | |
9~10세 아동 | 범주적 정보 | 신체적 속성, 조하하는 활동, 이름, 나이, 성별, 주소(훨씬 구체적인 용어 사용) | |
청소년 | 심리적 특성, 신념, 동기, 교우관계 |
* Rogenberg
어린 아동 | 관찰될 수 있는 용어 | 신체적 귀인, 선호하는 활동, 소유물, 구성원, 지역 |
나이 증가 | 특성의 초점이동 | 적성, 성격, 대인관계 특성 |
청년기 | 심리 내부 자기 정의 | 내적 사고, 감정, 소망, 태도 |
** 자아인지=자기지식=자아인식
*** 자신의 내재적 특성에 대한 이해
* Selman
수준 0 영아기 | 물리적 존재 이해 | ||
수준 1 아동전기 | 심리적 특성과 물리적 행동의 구분 | 자기조망 | |
수준 2 아동중기 | 감정과 행동이 다를 수 있다 | 자기 반추적 행동, 거울상 자아 | |
수준 3 아동후기 | 내적 자아를 관찰 평가, 성격특성 | 일반화된 타인 | |
수준 4 청년기 | 자아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 무의식 |
*** 발달단계에 따라 자기조망과 타인조망이 달라진다.
**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목표는 아동이 반추적, 분석적으로 자신의 감정, 동기, 관찰된 자아를 자극하도록 격려하는 것
* Harter(Selman, Rogenberg 통합)
수준 1 | 자기조망 | 관찰되는 용어 | 전조작기 | 긍정적 용어로 포괄적 서술, 자아중심성 |
수준 2 | 자기 반추 | 초점의 이동 | 구체적 조작기 | 여러 상황이나 영역에서 서술을 변화, 특성이 전체 상황으로 과잉일반화 |
수준3 | 일반화된 타인 | 심리내부 | 형식적 조작기 | 기존 특성의 명칭을 통합하거나 결합, 혼란과 과잉일반화는 여전, 개념의 분화 |
수준 4 | 무의식 | 추상적 개념의 모순됨 없음 |
* 정서의 정의(Harter)
3~4세 | 행복, 슬픔, 미치겠음, 무서움, 두려움 | 각각을 정의할 수 있으나 두개의 자아정서로 정의내리기 어려움 | |
4~5세 | 정의 못하더라도 '나쁜', '좋은' 감정으로 구분 | ||
5~7세 |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그렇게 느끼는지에 초점을 맞출 수 있음 | ||
8세 이후 | 감정의 기술 |
** 정서적 이해를 정교화 하기 위해 아동을 격려하는 데 사용
** 어떤 수준의 해석이 그 아동에게 적절한지 제안
3. 부모의 정서에 대한 아동의 이해
* about 타인의 정서 상태에 대해 정확하게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
** 세 가지 기초
① 아동은 개개인이 여러 행동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② 사람들은 가끔 의도적으로 그러한 일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③ 사람들이 예측할 수 있는 일관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다.
* 부모의 정서에 대한 아동의 이해
4~6개월 | 오래 응시, 정서 식별 | |
12~18개월 | 어머니의 정서반응으로 타인정서 인지 | |
3~4세 | 정서와 야기한 상황 간의 관계 이해 | 단순하고 명백한 정서, 다수가 부모와 같은 감정 경험 |
7~11세 | 부모의 분노에 대한 아동의 반응 | 행복이나 두려움에 대한 반응은 발달x |
* 아동 반응 내용에 대한 내용분석
아동에게 정서를 일으킨 것과 같은 사건이 부모에게도 같은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 자신의 정서를 부모에게 투사, 다른 원인 때문에 생긴 감정까지도 자신의 책임이라고 과잉일반화 할 수 있다. |
아동은 부모 정서의 원인이다. | 부모의 정서생활의 중심에 아동자신을 놓는다. |
아동이 포함되지 않은 부모의 생활에서 사건이 부모의 정서를 일으킨다. | 자기 정서의 원인을 타인에게 정서를 야기하는 사건과 분리하는 것을 배운다. |
*** 개인차는 진단적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도서 놀이치료 개론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39835
놀이치료 개론
▶ 이 책은 놀이치료 개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book.naver.com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본주의 놀이치료 개론 (0) | 2020.03.04 |
---|---|
의도성(행동원인 추론) (0) | 2020.03.03 |
자유연상(아동이 자유연상을 할 수 없는 이유) (0) | 2020.03.03 |
1920년대 안나 프로이드 vs 멜라니 클라인 (0) | 2020.02.29 |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4. 잠복기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