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94~99)
* 의도성: 어떤 일을 하고자 하는 욕구와 실제 행동을 인과적으로 매개하는 내적인 마음의 상태
** 어린아동은 행위의 객관적 결과로 도덕 판단, 더 나이든 아동은 행위를 수행한 사람의 의도성과 동기에 근거하여 도덕판단(컵 1개를 의도적으로 깬 경우와 컵 10개을 깬 경우의 비교).
*
단계(Selman) | 의도성의 구조 | 적합한 놀이치료 |
수준 0 | 물리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간의 혼란 | |
수준 1 | 행동을 동기의 탓으로, 심리적 인과관계와 물리적 인과관계의 구분 | 행동과 결과 간의 우연성을 확인, 원인과 결과의 연결, 원인적 사고 촉진을 위한 문제해결 경험 포함; 네가 ~행동을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
수준 2 | 자신의 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숨길 수 있음을 인식 | 자아관찰, 행동에 근거해서 동기 추론, 3수준으로의 격려 |
수준 3 | 자신이 복잡하고 갈등적인 동기가 있을 수 있음을 인식, 자신의 행동 원인에 대해 보다 많이 이해 |
통찰치료에 필요한 자기-인식, 아!학습 |
수준 4 | 갈등적인 동기가 더 높은 수준의 심리적 구조로 통합, 무의식적이거나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음 |
* 행동 통제의 귀인구조: 누가, 무엇이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하는지
** 외적통제 지각: 외부적인 힘에 책임을 귀인
*** 세 가지 통제원: 내적 근원, 권위있는 사람, 우연의 실험
*** 적성영역: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적성
* 원인에 대한 아동의 지각에 관한 정보
- 자신을 비난/ 실패를 다른 사람 탓
-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알고 싶어하는 아동/ 왜 그런지 알지 못하는 아동
* 순서 ① 통제지각 조사 ②지각이 얼마나 현실적인가
* 내적 동기: 도전을 좋아하고 호기심이 강하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좋아함
* 외적 동기: 편안한 일을 좋아하고 교사를 기쁘게 하고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공부, 어려운 일이나 문제가 생겼을 때 교사의 도움을 받으려 함
** 3학년 생은 내적 동기가 가장 높고,
** 외적 동기는 꾸준하게 직선으로 변해서 중학교 때 최고치
** 학급에서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발달적으로 감소,
** 사회적 대인관계, 체육활동, 학교생활 이외의 인지적 노력 등의 다른 영역에서는 내적동기 증가
* 동기의 발달 상 차이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려면 아동의 동기적 지향을 교실 밖으로 확장해야 한다.
참고도서 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39835
놀이치료 개론
▶ 이 책은 놀이치료 개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book.naver.com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9 [놀이치료특강] 아동중심 놀이치료 (0) | 2020.03.04 |
---|---|
인본주의 놀이치료 개론 (0) | 2020.03.04 |
자아와 정서 (0) | 2020.03.03 |
자유연상(아동이 자유연상을 할 수 없는 이유) (0) | 2020.03.03 |
1920년대 안나 프로이드 vs 멜라니 클라인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