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특수교육

청각장애학생의 보청기와 인공와우(사용시 유의사항)

꼬불머리 2017. 8. 1. 14:25

보청기

  - 청력손실로 인해 감소되어 들리는 소리를 청각장애인이 잘 들을 수 있도록 증폭시켜주는 장치

  - 착용위치에 따라 상자형, 귀걸이형, 귓속형, 고막형 

 

가. 구조

 ※ 송화기 → 증폭기(+ 음향조절기, 건전지) → 수화기


나. 사용하는 학생의 지원시 유의점(관찰평가)

 - 현재 착용하고 있는 보청기의 성능이 잘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

 - 교육환경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보청기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

 - 보청기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① 내습성이 있어도 습기와 열에 취약. 비오는 날, 물놀이, 체육시간에는 보청기를 착용하지 말고 보관통에 보관

② 아연공기전지는 아연과 산소가 결합하여 기전력 발생.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공기가 통하는 구멍에 스티커 부착, 건전지 뚜껑 열어두기

③ 부드러운 헝겊이나 면봉으로 닦은 후 실온에 건조(알콜x, 세제x)

④ 귀지가 쌓이면 외이도염의 위험. 보청기의 땀, 귀지, 먼지 등 이물질 청소

외부충격 조심(딱딱한 물체, 떨어뜨림 유의)

내구연한 3년, 정기검진 6개월

⑦ 성장기에는 외이도의 모양이 변하므로 하울링(삐익 소리)이 자주 발생할 경우 이어몰드 다시 제작

⑧ 건전지 소모 시 빕음(디지털)이나 손으로 잡았을 때 하울링소리가 안들리는(아날로그) 현상이 발생


인공와우

- 집중적인 청각재활이 제한적으로 도움 되거나 아무런 도움이 안되는 고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사람에게 손상된 청각기관으로 일부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대안적인 방법

 - 말초신경에 이식하여 청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기구 


가. 구조

 ※ 내부장치와 외부장치

 ※ 내부장치: 수신-자극기(수신안테나), 전극선(전기에너지로 청신경을 직접자극)

 ※ 외부장치: 마이크로폰(외부의 음을 감지하여 내부장치로 전달), 말소리합성기(소리를 전기자극 신호로 처리), 전선, 송신코일(안테나) 


나. 사용하는 학생의 지원시 유의점(관찰평가)

 - 인공와우 외부 착용장치 사용 시 주의할 점 숙지

 - 어음처리기 조절상태가 청각장애학생의 상태나 듣기 상황에서 알맞게 조정되었는지

 - 모든 인공와우 장치가 최상의 조건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어음처리기가 우연히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착용

② 전선이 강한 힘에 의해 당겨져 훼손되지 않도록 옷 안에 착용

③ 과도한 운동 시 어음처리기 벗어두기

④ 자전거, 롤러 스케이팅, 축구 등의 운동 시 헬멧을 착용하여 이식 부분 보호

⑤ 정전기 보호 특질이 있어도 높은 수준의 정전기 발생시 손상될 수 있으므로 유의

  (플라스틱 운동기구 이용시 어음처리기와 헤드셋 전원 끄기, 어음처리기와 헤드셋을 잡기전에 사람이나 다른 사물을 먼저 만지기)

⑥ 건전지 용량이 낮을 경우 어음처리기 윗부분 빨간 표시등 또는 건전지 소모시 까지 네 번의 핑 소리



다. 좌석배치(보청기, 인공와우 공통)

① 소음 적은 곳, 입모양을 볼 수 있는 정면, 친구의 행동을 따라할 수 있는 두세째줄

② 함께 읽을 때 손으로 따라가기, 토론자/발표자 알려주기, 필기 빌려보기

③ 못 알아들을 때 완전한 문장으로 문맥을 알 수 있게 반복

④ 일과 중 보청기 착용 중요, 수업 중 바른자세

⑤ 일관된 태도로 잘못된 사항 설명

⑥ 지속적 참여, 새로운 경험, 전달사항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