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적장애 다단계 다수준 모형(Wehmeyer,2002)
2. 정서행동장애 다중관문모델(Walker)
* 다수의 많은 학생 중 정서나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을 체계적으로 선별하는 과정
1단계 교사의 추천 | - 외현적 행동(공격, 과잉)을 가장 심하게 보이는 학생 3명과 내재적 행동(위축, 우울)을 가장 심하게 보이는 학생 3명 추천 - 교사를 위한 안내문 제공 |
2단계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 - 위기사건척도(CEI), 문제행동 총 빈도척도(CFI) 작성 - CEI: 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매우 심각한 행동이(절도, 방화, 구토 등) 지난 6개월 이내에 발생한 적이 있는지 여부 - CFI: 12개의 적응행동과 11개의 부적응행동 - 표준점수와 퍼센타일, 둘 중 어느 하나에서 분할점수를 초과하면 다음단계 |
3단계 관찰 | - 훈련된 관찰차 - 교실에서 두 번, 운동장에서 두 번, 15분간 - 성별, 연령별 규준을 초과한 학생은 개별화교육지원을 위한 평가 팀에 의뢰되거나 의뢰 전 중재 |
3. 긍정적 행동지원(PBS) 학교차원 장기지원
3차 예방 | 특수화된 중재: 개별학생 | 5% |
2차 예방 | 집단중재: 위험집단 | 15% |
1차 예방 | 보편적 중재: 학교, 학급 | 80% |
학교-가족-지역사회 지원: 학생, 학교, 가정, 지역사회 |
4. 학습장애 중재-반응접근법
1단계 일반교육 | 보편적인 핵심교수 프로그램, 모든학생 대상 교육과정 기반 측정, 위험학생 성취도 모니터링 |
2단계 소집단 | 소집단 교수, 교육과정 기반 측정, 잦은 성취도 모니터링, 이중 불일치 평가 |
3단계 집중적 개별화 | 집중적이고 개별화된 프로그램 실시 및 성취도 모니터링, 다학문적 팀평가로 배치 및 장애여부 결정 |
'좋아서하는공부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질, 애착 (0) | 2017.08.21 |
---|---|
FM시스템 보청기 (0) | 2017.08.10 |
청각장애 아동의 청능훈련 (0) | 2017.08.08 |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0) | 2017.08.06 |
학교 교육과정 지원 (0) | 2017.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