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p.67~84)
1. 신생아기 발달
* 반사행동: 주변의 소리, 빛, 접촉 등의 자극에 자동적인 반응, 생존과 밀접한 관련
** 접근 반사, 회피 반사, 기타 반사
*** 접근 반사(받아들이는 행동): 찾기, 빨기, 삼키기
*** 회피 반사(전부 아니면 전무, 신체를 위협하는 자극에 대한 반응): 기침, 재채기, 눈 깜박임
*** 기타 반사(진화 과정 중 인간의 생존에 도움이 되는 적응적 반사): 잡기반사, 모로반사, 바빈스키 반사, 긴장성 목반사
** 반사행동은 아동의 정상 발달을 평가하는 좋은 척도
*** 아프가 척도: 태어난지 1~5분 된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심장박동률, 호흡, 근육, 피부색)과 반사행동을 평가하여 아동의 운동 및 신경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평가
*** 신생아 행동평가척도: 출생 후 24~36시간 이내 실시. 5가지 기능 영역(피부색, 심장박동, 반사 민감성, 호흡, 근육긴장)을 28가지 행동을 통해 측정. 신생아의 신경적 기능을 보다 면밀하게 측정
*** Gesell 발달지수(DQ): 정상 영아와 비정상 영아를 분류할 때 사용. 영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 수준 평가
2. 신체 발달
* 중심-말단 방향
3. 운동 발달
* 중심-말단 방향
1) 대근육 운동
** 움직임과 자세
- 생후 1~3개월: 목 가누기
- 생후 2개월: 기대 앉기
- 생후 3개월: 기어 다니기
- 생후 6개월: 빠르게 기기
- 생후 8~9개월: 짚고 앉기, 그냥 앉기, 의자 붙잡고 서기
- 생후 10~12개월: 혼자 서기
- 생후 15개월: 혼자 걷기
*** 걸음이 느리고, 비대칭적이며, 보폭이 좁게 걷다가
*** 걸음이 빨라지고, 대칭적이고, 두 발을 서로 교차해가며 자연스럽게 걷는다.
2) 소근육 운동
** 미세한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
- 신생아: 쥐기, 뻗기
- 생후 5~9개월: 손가락 전체를 사용하여 블록 잡기
- 생후 6~9개월: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물건 옮기기
- 생후 10개월: 손가락으로 집기(대상의 크기, 모양, 질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 젓가락 사용, 단추 잠그기, 양말 신기, 퍼즐 맞추기, 색종이 접기, 그림 그리기, 가위 사용하기, 글쓰기
참고도서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824270
발달심리학
전 생애 발달 중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는 아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기는 발달심리학 영역에서 그 어떤 발달 단계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아동기의 여러 발달 영역에 대해서 고전적인 이론뿐 아니라 최근의 연구와 동향을 포함하여 발달심리학의 근간이 되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book.naver.com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1. 구강기 (0) | 2020.02.25 |
---|---|
인지 발달 이론 (0) | 2020.02.22 |
발달적 측면 (0) | 2020.02.22 |
2018.11.30. 놀이치료에서 발달심리의 역할 (0) | 2020.02.20 |
정신역동놀이치료 (0) | 202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