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p.118~145)
1. 피아제
* 도식, 동화, 조절, 평형화
감각운동기 | 반사활동 | 출생~생후1개월 | 빨기, 잡기 | ||
1차 순환반응 | 생후1~4개월 | 같은 행동 반복, 빨기와 잡기를 동시에 | |||
2차 순환반응 | 생후4~8개월 | 흥미를 유발하는 행동, 행동에 대한 목표, 대상영속성 | |||
2차 순환반응 협응 | 생후8~12개월 | 목표를 위해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 위치오류(A-not-B오류) | |||
3차 순환반응 | 생후12~18개월 | 반응을 보기 위해 여러 행동을 시도 | |||
심적 표상 | 생후18~24개월 | 다양한 상징놀이 | |||
전조작기 | 만2~7세 | 상징적 표상(흉내, 언어, 그림), 중심화(보존개념x), 자기중심성(세 산 모형 실험), 물활론적 사고 | |||
구체적 조작기 | 만7~11세 | 보존개념(수평적 격차o), 중다 분류, 서열 개념 | |||
형식적 조작기 | 만11세~ | 추상적/과학적/논리적 |
* 위치오류 실험
* 아동의 그림 발달 단계
* 보존 개념 과제
* 세 산 모형 실험
* 보존개념의 수평적 격차
* 기대 위배 실험: 감각운동기에 대한 반박
* 변형된 보존 개념 과제: 전조작기에 대한 반박
2. 비고츠키 사회 문화적 이론
* 근접발달영역: 실제적 발달수준과 잠재적 발달수준 간의 차이
* 발판화: 아동의 수준에 맞추어 아동이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을 때까지 유능한 성인이 아동의 수준에 맞는 발판제공
* 유도된 참여: 아동은 성인이나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며 자신이 속한 문화나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회화 과정에 오름. 아동은 어른이나 또래를 관찰하며 그들의 가치, 기술, 방식 등을 배운다.
** 연령에 따른 변화를 기술하지 못한다.
** 근접발달영역을 측정하기 어렵다.
3. 정보처리 이론
* 자극 → 감각저장 / 단기저장 → 부호화, 인출 → 장기저장
**Case 신피아제 이론: 인지 발달은 정보 처리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일어나며, 작업 기억 용량의 증가는 이러한 변화에 기여한다.
Piaget | Case | 정보처리의 복잡성 | |
감각운동기 | 감각운동적 조작 | 감각 정보 수용 | 목표 조직화 |
전조작기 | 표상적 조작 | 심상화 | 일초점 협응 |
구체적조작기 | 논리적 조작 | 추상적 표상화 | 이초점 협응 |
형식적조작기 | 형식적 조작 | 정보처리와 문제해결 | 복잡한 협응 |
** Siegler 진화론적 이론: 인지 능력도 여러 능력 중 환경에 가자 적합하고 효율적인 것이 선택되어 발달한다.
4. 이론-이론
* 이론: 어떠한 현상이나 대상을 이해하기 위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명제
* 이론-이론: 아동은 단순히 지식 습득을 통해 세상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이론을 가지고 통찰력을 갖게 된다. 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세상에 대한 이론 형성과 이에 대한 실험 및 검증 능력을 가지고(신생득론), 경험에 따라 이론은 다양해 질 수 있다(피아제).
참고도서 발달심리학: 아동기를 중심으로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824270
발달심리학
전 생애 발달 중 가장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는 아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기는 발달심리학 영역에서 그 어떤 발달 단계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아동기의 여러 발달 영역에 대해서 고전적인 이론뿐 아니라 최근의 연구와 동향을 포함하여 발달심리학의 근간이 되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book.naver.com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2. 항문기 (0) | 2020.02.26 |
---|---|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1. 구강기 (0) | 2020.02.25 |
신체 발달 (0) | 2020.02.22 |
발달적 측면 (0) | 2020.02.22 |
2018.11.30. 놀이치료에서 발달심리의 역할 (0) | 2020.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