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왜 거부적인가
A. 생리적 욕구, 심리적 욕구, 애정, 인정 등
-> 저항하고 있구나(아동중심)
-> 저항에 맞서라(치료놀이)
-> 필요한 것을 주면서 인정(상호작용)
* Bowlby(1969/1982)의 애착이론 기반
* 부모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녀의 많은 행동문제는 고려해야할 기본적인 관계 문제가 있다.
* 문제를 가진 모든 연령의 아동에게 유용하다.
이론과 연구
* 치료놀이 치료목표: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인 내적 작동 모델, 자기조절 능력, 사회적 기술, 학습 능력, 정신건강
핵심개념
* 관련이론과 연구: 애착, 두뇌발달, 치료적 변화를 이끄는 요소들
1. 상호작용적이고 관계에 기초를 둔다
* 안전을 위해 가까이 머무르고자 하는 욕구
* 의미있고 즐거운 유대감을 나누고자 하는 욕구
-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능력
- 타인의 행동에 우리의 행동을 동조하고 일치시키는 능력
* 치료놀이 목표는 부모와 자녀가 안전감을 느끼게 하여 그들이 새로운 연결 및 유대를 경험하도록 마음으 문을 열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녀와 부모의 의도를 읽고, 공명하고, 일치되고, 조절하는 능력을 충분히 사용한다.
2. 직접적이고, 지금-여기 경험을 제공한다.
* 애착패턴과 내적작동 모델은 비언어적이고 순간지향적 기억으로 저장된다.
* 즐겁고 수용적인 반응은 아동의 부정적인 내적작동 모델에 도전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 강렬한 연결과 동시성의 순간을 '지금 순간'이라고 부르고, 심리 내적 조직과 자아감에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낸다.
3. 성인이 안내한다.
* 부모가 자녀에게 제공하는 공동조절과정(신체 온도 유지, 음식 제공, 불안해하는 영아달래기)는 자기조절능력으로 이어진다.
4. 조율적, 공감적, 반응적, 반영적이다.
* 조율: 함께하는 경험을 통해 부모는 자녀의 정서 수준과 톤에 조율하게 된다.
* 공감: 조율을 통해 아기는 감정이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며 타인도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 반응: 부모와 자녀가 긍정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건강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획득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 반영: 부모는 자녀의 내적 상태뿐만아니라 부모 자신의 내적 상태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5. 전언어적, 사회적, 우뇌초점적이다.
* 효과적인 치료란 초기 양자관계 조절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자각, 우뇌 정서 발달에 관한 완전한 지식, 암묵적 절차기억의 역동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근원을 두어야 한다.
* 사랑하는 관계와 안정 애착은 건강하고 탄력적인 뇌를 만들고, 방임 및 불안정한 애착은 스트레스, 조절곤란과 ㅈㄹ병에 취약한 뇌를 만든다.
* 우뇌가 먼저 발달하는데, 이는 정서와 애착의 발달로 이어진다(뇌 발달 단계에 따라).
6. 다감각적이고 접촉을 포함한다.
* 접촉은 인간의 경험에 기초가 된다.
** Q. 아동중심(비지시)와 치료놀이(지시)는 극과 극이라는데 아동의 수용과 따라가기가 치료놀이에는 적용되지 않는가?
** A. 극과 극은 만난다; 아이의 욕구에 대한 이해로.
*** Youtube: 치료놀이, 애착놀이
- https://youtu.be/ZO1yFnYbRnY
7. 즐겁다.
* 놀이는 치료놀이 접근의 필수적인 부분
* 관심과 즐거움을 가지고 대하는 부모는 자녀의 신경체계에 동조적 각성을 발생시키게 된다.
* 동조적 각성은 자발적이고 탄력적이며 연결성과 공감을 촉진시킨다.
* 뇌 시내브 발달을 강화시킨다.
임상사례
평가
* 접수면접
* 마샥 상호작용 평가: 구조화된 놀이기반 평가도구
- 4차원: 구조화, 개입, 양육, 도전
- 각 차원에서 부모의 정서적 가용성, 자녀의 반응성, 부모의 안내, 부모의 조율성을 탐색한다
* 치료놀이 차원으로 마샥 상호작용 평가 분석하기
1. 구조
* 부모가 책임지고, 제한 설정하고, 아동을 위해 안전하고, 질서 있고, 이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부모의 능력
- 부모는 상호작용을 구조화하는가? 부모는 자녀가 구조화되리라 기대하는가?
- 자녀는 부모의 안내를 받아들이는가? 자신의 방식대로 하려고 하는가?
2. 개입
- 자녀의 발달수준과 정서상태에 적절한 상호작용 개입을 촉진하는 부모의 능력 평가
- 자녀가 부모의 개입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3. 양육
* 사랑받고 소중히 여기는 느낌, 편안함, 안정감
- 부모가 자녀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정서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돕는지
- 자녀의 발달에 적절한 양육을 수용하는 능력과 편한함을 얻기 위해 부모에게 돌아가는지
4. 도전
* 유능성과 자신감의 발달
* 자녀의 욕구 지지, 비계 설정
* 숙달감, 현실적인 자기기대
-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을 활성화시키는 능력, 발달적으로 적절한 기대감을 준비시키는 능력, 자녀의 성취를 기뻐하는 능력
치료와 결과
피드백(예시)
* 도움을 필요로 하는 주요영역
- 아동은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는 양육을 받아들이는 것을 불편해하였다.
- 아동은 성인의 지시와 구조를 받아들이는 것이 매우어려워 하였다.
- 아동은 많은 자극에 쉽게 압도되고, 어머니와 오랫동안 한 가지 활동을 할 때 과도하게 움직였다.
- 아동은 자신감이 부족하고 다른 활동에 주의를 돌리면서 도전 과제를 회피하였다.
* 목표 선택
- 이미 사용하는 양육방식 중 효과적인 기법과 전략을 설명해주기
- 관계를 강화시키는 방식의 예시를 그들에게 보여주기
- 아들에 대한 개인적이고 상호적인 이해와 아들의 욕구, 괴로움, 그리고 강점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하기
- 다음 주 치료를 준비하기 위해 협력적인 치료 계획에 대한 대화나누기
* 세부적인 치료 목표
- 부모의 양육을 수용하는 능력 높이기
- 도전활동으로 자아존중감과 자신감 높이기
- 구조활동으로 성인의 지시를 수용하도록 돕기
- 아버지가 구조화를 성공해보는 기회를 가지고 어머니가 아들의 단서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부모로서의 자신감 강화시키기
부모회기
* Check-up: 미리 알려준다는 느낌과 중요성을 느끼도록
* 로션 발라주기, 소리나는 얼굴, 비눗방울 터뜨리기, 깃털불기, 먹여주기, 노래불러주기
결론
* 치료놀이는 치유제로서 가족 구성원을 돕고, 이번 장에서 읽은 내용처럼 그들의 손상된 관계를 회복시키고 즐거움, 연결감과 사랑을 다시 경험하게 한다.
참고도서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편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953901
놀이치료 1
▶ 놀이치료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book.naver.com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면접 시 물어봐야 할 내용 (0) | 2020.09.01 |
---|---|
치료놀이 개론 (1) | 2020.03.14 |
아들러학파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 (0) | 2020.03.11 |
아들러 학파 놀이치료 개론 (0) | 2020.03.11 |
인지행동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 (0) | 202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