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구성요소:
형태(음운, 형태, 구문), 내용(의미), 사용(화용)
*최소대립쌍: 말소리 하나를 교체함으로써 의미의 변별이 생기는 음절이나 단어의 쌍
유형
1) 실어증
: 신경학적 뇌 손상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언어 이해 및 표현 장애. 언어, 읽기, 쓰기, 셈하기 등 여러 의사소통 양식에서 장애가 나타남
베르니케 | 초피질감각 | 브로카 | 초피질운동 | 혼합초피질 | 전반적 | 전도 | 이름 | |
유창성 | + | + | - | - | - | - | + | + |
청각이해 | - | - | + | + | - | - | + | + |
따라말하기 | - | + | - | + | + | - | - | + |
이름대기 | - | - | - | - | - | - | + | - |
① 베르니케 실어증: 언어상동증, 과유창성, 과도문법성, 기능어 과도사용, 탈문법증, 의미착어, 음소착어, 신조어, 무의미발화, 자곤, 자가수정x, 읽기이해x, 쓰기수행력x
② 브로카 실어증: 전보문 형식, 탈문법성, 실문법증, 음소착어, 표현능력-, 유창성-, 의미전달-, 발화길이-, 운율-, 속도-, 문장이해력-, 쓰기-
③ 혼합초피질 실어증: 언어보속증
④ 전반적 실어증: 장애정도 최중도, 과제수행력-, 이름과 거주지를 알아듣는 듯 보이기도, 신음소리, 단음절발화, 자동화발화
⑤ 전도 실어증: 음소착어, 삽입어, 자극어, 음절/어절 생략, 음소/의미착어, 어절 도치, 무의미 자극에서 오류 많음, 이름대기에서도 음소착어 및 자가수정, 쓰기에서도 음소착어, 쓰기완성도 높음, 읽기 후 이해력 높음
⑥ 이름 실어증: 청각 이해시 내용단서 필요, 의미적 단서 중요, 단어찾기-, 음소착어, 자가수정
2) 단순언어장애
: 다른 언어 능력과 관련된 요인들(지능, 청력, 신경학적 손상 등)에 문제가 없이 언어발달에만 문제를 보임
- 지도방법: 목표어휘, 반복 재생하기, FA질문법_의사와 무관하게 응 대답 하지 않도록 두 개의 단어 가운데 하나를 고르도록 질문, W질문법_누가/무엇을/어디서/언제
3) 정신지체
4) 자폐
5) 뇌성마비
6) 청각장애
평가
1) 표준화 검사: 구문의미이해력검사, 그림어휘력검사, 언어문제해결력검사, 언어이해인지력검사, 영유아언어발달검사, 우리말조음음운평가, 취학전아동의수용언어표현언어발달척도, 한국표준수용언어어휘력검사
2) 역동적 상호작용 언어평가: 전통적 평가를 보완하여 문맥을 중요시
3) 발달잠재영역ZPD에 근거한 언어평가: 성인과 아동간의 잘 결합된 상호작용 속에서 과제를 평가하고 단기학습 후 재평가
4) 자발화분석
*발화의 구분
- 시간의 경과(3~5초), 운율의 변화, 주제의 변화
- 다른 상황이나 문맥, 새로운 의미인 경우 다른 발화
- 반복, 간투어, 감탄하는 소리, 무의미 소리, 외워진 자동구어는 분석에서 제외
① 의미론적 분석: 의미유형과 의미관계
- 체언(행위자, 경험자, 소유자, 공존자, 수혜자, 대상, 실체, 인용/창조물), 용언(행위, 서술,), 수식언(체언수식, 용언수식, 배경), 기능적 구성요소(주의끌기, 되묻기, 감탄, 예/아니오 대답, 강조, 동반소리, 인사, 접속, 자동구)
- 어휘 다양도 TTR, 다른 낱말의 수 NDW, 총 낱말의 수 NTW
- TTR= NDW/NTW
② 구문론적 분석: 평균발화길이 MLU
- 평균낱말길이 MLU-w/MLR, 평균형태소길이 MLU-m, 평균구문길이 MSL
- 형태소: 자립형태소, 의존형태소, 어휘(실질)형태소, 문법(형식)형태소, 구성소, 형성소
- MLU-m= 각 발화 형태소 수의 합/총 발화 수, 최장 발화 형태소 길이 UBL= 분석한 발화 중 가장 긴 발화의 형태소 수, MSL= 총 형태소 수/총 발화 수_단 2개 이상 형태소 발화만 분석
③ 화용론적 분석
- 자발적 문장(자발적 시도, 질문에 대한 반응)과 모방(즉각, 지연, 완전, 부분, 변형)
- 초기 구어 기능: 명명, 반복, 대답, 행동요구, 대답요구, 부르기, 인사, 저항, 연습
- 대화 기능: 요구(정보, 행위, 사물, 허락), 반응(질문에 대한, 요구에 대한, 반복, 의례적), 객관적 언급(사물에 주의끌기, 이름대기, 사건/상태, 고유특성, 기능, 위치, 시간), 주관적 진술(규칙, 평가, 내적상태, 속성, 주장, 설명), 대화내용 수신표현(수용, 승인/동의, 부인/반대), 대화내용 구성요소(의례적 인사, 부르기, 화자선택, 동반, 감탄), 발전된 표현(농담, 경고, 놀림)
*전제능력/전제기술: 대화상대자와 의사소통 시 현재 상황에서 불필요하거나 이미 알고있는 정보, 변화되거나 새로운 정보가 무엇인지 깨닫고 적절하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교육
1) 발화
- 발화유도 전략: 혼잣말 기법, 평행적 발화 기법, FA질문법, 대치요청
- 발화 후 언어자극 전략: 문법 확장, 의미 확대, 재구성, 수정, 자기수정요청, 자기수정모델, 교정적 피드백, 수정 후 재시도 요청
2)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EMT
- 환경조성: 흥미있는 상황, 손에 닿지 않는 상황, 부적절한 상황, 선택해야 할 상황, 도움이 필요한 상황, 예기치 못한 상황
- 반응적 대화양식: 공동관심, 차례주고받기, 행동에 따른 반응, 긍정적인 감정표현
- 환경교수 절차: 모델, 반응 요구 후 모델, 시간지연, 우발학습
3) 스크립트문맥
- 문맥 스크립트 안에서 주고받는 대화의 기회, 반복
- 스크립트를 위반하는 사건을 만들어 아동의 자발적 언어 유도
4) 낱말찾기훈련
- 그림 이름대기
- 의미적 단서(동의어, 반의어, 연상어, 동음이의어, 상위범주어, 하위범주어, 목표낱말의 기능, 물리적 특성, 몸짓), 구문적 단서(문맥이나 상용구), 음향-음소적 단서(첫음절, 음절수, 첫글자)
5)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좋아서하는공부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과 시각장애 (0) | 2017.09.20 |
---|---|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0) | 2017.09.20 |
말장애 (0) | 2017.09.19 |
지적장애 학생 교육과정 구성 (0) | 2017.09.18 |
지적장애의 원인 (0) | 201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