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특수교육

지적장애 학생 교육과정 구성

꼬불머리 2017. 9. 18. 10:13


기본전제

① 연령에 적절한 교육과정

② 궁극적 기능성: 가족의 선호도, 또래발달, 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소제한환경에서 최대한 기능

③ 최소위험 가정

④ 영수준의 측정: 실제 사회에서 일반화 될 수 있는 성인이 된 이후에 필요한 기술 교수

⑤ 자기결정 증진



교육과정 운영

1)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 (필수 전제 기술 습득과 상관없이) 아동의 현재와 미래환경에서 필요한 기술을 교수하는 하향식 접근법

① 생태학적 목록법=환경조사법

1단계 교육과정 영역 정하기

 상황, 맥락으로 사용될 교육과정 영역

 가정, 직업, 지역사회, 여가 등

2단계 영역에서

현재와 미래 환경확인하기

 영역내 활동이 일어나는 환경

 아파트, 주택, 그룹홈, 시설 등

3단계 하위 환경으로 나누기

 구체적인 활동이 일어나는 즉각적인 환경

 거실, 부엌, 침실, 테라스 등

4단계 하위 환경에서

벌어지는 활동의 목록화

 부수환경에서의 구체적인 활동

 예) 라면 끓이기

5단계 활동을 위한 기술 정하기

 과제분석

 1. 냄비에 물 적당량 붓기

 2. 가스불 켜기

 3. 물이 끓기를 기다리기

 4. 라면과 스프넣고 3분후에 불끄기

 5. 그릇에 담아 식탁에 가져오기


2) 지역사회 중심 교수

 - 체계적인 교수계획에 의한 것, 단순한 현장학습과 적응훈련과 구분

② 지역사회 기술 교수

지역사회 중심 교수

 지역사회

 약국, 우체국, 레스토랑, 식료품가게

지역사회 참조 교수

 학교

 학교 식당, 자판기, 구내 문구점

지역사회 가상 교수

 교실

 수업시간


③ 일반사례교수법

1단계 교수목표 범위 정하기

 학습자의 특성, 현재능력, 교수할 행동 고려

 지역 내 편의점을 사용할 수 있는가 

2단계 일반적 과제분석 하기

 일반적 과제분석 및 각 장소에서 자극과 반응 변화분석

 표에 기록(+/-)

3단계 표본 교수/평가의 예 설정

 장소 선정 및 교수 계획 매일 학교에서, 주말에는 편의점에서

4단계 교수하기

 교수 및 촉진

 

5단계 평가하기

 일반화 평가까지

 


3) 기능적 학업기술 교수

: 주제별 접근/ 기능적 연습활동


4) 자기 결정 기술

자율성

 선택결정 기술, 의사결정 기술, 문제해결 기술, 독립생활/위기관리/안전관리 기술

자기규칙

 자기관찰/자기평가/자기강화 기술, 자기교수 기술, 목표설정 및 성취기술

심리적 역량

 내적 통제 기술, 긍정적 자기 효율성 및 성과 기대, 자기 옹호 및 리더쉽 기술

자아실현

 자기이해, 자기 인식, 자기 지식

*주요 특성                             *주요 기술

- 자기결정 5단계: 자신 및 자신의 환경알기, 자신을 평가하기, 계획, 행동, 성과 경험과 학습

- 자기결정 교수학습모델: 목표설정, 실행, 목표 및 계획 수정


5) 부분참여의 원리

*잘못된 부분참여의 원리

수동적 참여

 관찰은 가능하나 상호작용 없이 물리적으로 배치

근시안적 참여

 교육과정의 관점들 중 한 가지 혹은 몇 가지에만 초점

단편적 참여

(비정규적 참여)

 활동에 부정기적으로 참여

부족한 참여

(참여기회 상실)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없거나,

 독립적으로 활동하기 위해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 다른 다수 활동 참여의 기회 상실



'좋아서하는공부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장애  (0) 2017.09.19
말장애  (0) 2017.09.19
지적장애의 원인  (0) 2017.09.18
학습장애 교수법  (0) 2017.09.17
학습장애 특성 및 영역별 교수전략  (0) 2017.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