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놀이심리

10/24 [인지치료] 문제행동분석과 문제선택

꼬불머리 2019. 10. 26. 15:31

지난 과제1>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치료 제2판

 제8장 자주 사용되는 인지 및 행동기법

 제9장 인지행동치료의 창의적 적용

지난 과제 2> 인지치료와 정서장애

 제10장 인지치료의 기법

지난 과제 3> SORC 생각기록지


[5,6주차 내용]

* 합리적 생각의 요점 2가지 ① 타당한가? ② 얼마나 효율적인가?(귀인과 파국과 살펴보기)


* 합리적 사고를 위한 절차: 증거검증

   첫번째, 아동이 내린 결론의 이유 생각해보기

    - 무엇이 너의 생각을 100% 사실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을까?

    - 무엇이 너에게 의심조차 하지 않게 만들었을까?

    - 너의 결론을 절대적으로 지지하는 사실은 무엇일까?

    - 무엇이 너를 그렇게 확신하게 할까?


  두번째, 상반되는 근거 찾아보기(의심하게 만드는 이유)

    - 무엇이 너의 결론에 대해 의심하게 만들까?

    - 어떤 사실들이 네 결론에 대해 덜 확신하게 만들까?

    - 너의 믿음을 흔드는 것은 무엇일까?


  세번째, 대안적 설명 생각할 수 있도록 돕기

    - ___에 대해 네가 내린 결론 말고 다르게 볼 수는 없을까?

    - 너의 결론 외에 ___을 다르게 설명할 수는 없을까?

    - 네가 내린 결론에 더해서 이것의 다른 의미는 무엇일까?


  네번째, 다시 결론을 내리도록 돕기

    - 새로운 결론을 지지하는 증거와 지지하지 않는 증거를 모두 다 설명할 수 있어야

    - 새로운 결론에는 문제해결 요소가 포함 될 수도

    -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재평가함으로써 새로운 해석이 미친 영향에 대해 판단


* Padesky(1988) 아론백 전통적 인지치료의 핵심

 : 검증을 통해 합리적 생각을 하는것

** 지침

  첫째, 나의 생각을 전적으로 지지하는/지지하지 않는 사실들을 기록

  둘째, 아동이 증거를 나열할 때 치료자는 가르쳐주거나 힌트를 주지 않도록 유의 (생각기록지에 빈칸이 생겨도 된다)

  셋째, 감정이나 생각을 사실처럼 취급하지는 않았는지 확인


^ 예시: 주교재 p.166 책임파이와 죄책감으로 고통받고 있는 한 청소년의 이야기

 ① 자동적 사고의 확인

   - 아빠가 술을 드시는 이유가 모두 내탓이라고 믿고 있다

 ② 모든 이유들 나열해 보기

   - 내가 착한 딸이 아니란 것  15

   - 직장의 일이 힘드신 것  20

   - 할머니와 할아버지도 알코올 중독  30

   - 아빠는 가끔 심하게 우울  10

   - 아빠는 술 친구들과 자주 술을 마시러 나감  25

 ③ 이유들에 % 부여하기

 ④ 감정의 변화 살펴보고 더 이야기 나누기

+ 재진술과 생각연결 기술은 상담을 더 풍부하게 해 줄 것이다.


* CBT과정

  S → O → R → C

  -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가?

  - 상황, 기능, 인지, 행동: 어디에 어떻게 개입할 것 인가?

^ 예시

  S: 공부하는 상황

  O: 공부가 잘 안됨

  R: 수치심  --------------> 항상 그런가? 어느 누구라도 항상 그렇지는 않다. → 언제, 어떻게, 무엇이, 결과는? 등의 조건 파악이 중요

  C: 더 자극적인 것을 찾음

** 응용행동분석(자폐, 지적장애)과 같은 원리: S → R 어디에 개입할 것인가


* 문제행동 분석: 행동을 일으키고 유지시키는 변인을 파악하여 어떤 변인을 변화시킬지 결정


** O: 자동적 사고

***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의 기본 틀

  첫째, 자동적 사고를 찾아 파악한다.

  둘째, 자동적 사고를 감정 및 행동과 연결시킨다.

  셋째, 공감적으로 반응하면서 생각-감정-행동을 연결시킨다.

  넷째, 1~3단계에 대한 협력과 앞으로의 진행에 대해 내담자의 동의를 구한다.

  다섯째, 소크라테스 방식으로 신념이나 생각을 검증한다.


** R: 반응

  - 구체적인 상황에서 정서, 인지, 신체, 외현행동, 인지과정 명확히 하여 분석

  ^ 예시: 대인불안 → 의사표현의 어려움 → 완벽한 표현에의 강박 → 비합리적 사고 남이 나를 싫어한다

  - 내용 특수성 가설에 의해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또 다른 생각과 또 다른 감정이 일어나고, 공병질환이 일어나기도 한다.

  ^ 예시1: 죄책감 ↔ 죄책감 ↔ 우울

  ^ 예시2: 강박 ↔ 대인공포 ↔ 우울 ↔ 조울 : 공병질환


*** 여러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 행동은 서로 다른 차원에 따라 다른 치료방략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 하나의 문제행동의 문제를 R 또는 다른 무엇 하나로 보면 문제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

*** R 파악을 위한 질문:

    - 문제행동의 정의: 신체변화, 인지,정서, 외현행동, BASIC-ID

    - Lazarus의 BASIC-ID

      : Behavior 행동, Affect 감정, Sensation 감각, Imagery 심상, Cognition 인지, Interpersonal relationship 대인관계, Drug/Biology 생물학적 기능

    - 주관적 어려움: 강도,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래, 무슨 생각, 어떤 이미지, 신체변화

*** 드러난 몸짓만으로 생각하지 마라!

    어느것으로도 규정될 수는 없다.

    - 몸짓 → 감정, 인지, 신체, 대인관계 등등등


** S: 자극/ 상황

  ^예시: 무시하는 태도, 얼굴표정

  - 언제 일어나고 언제 일어나지 않는지? → 주관적 탐색을 보다 정확하게 → 외적상황

  - 행동의 정도, 빈도, 감소? → 좀 더 구체적으로 ~? 다른 의미로? (입에 달고 살면 좋음)

  - 결과 행동 분석의 출발점

  - 조치: 자극통제(대안행동 하기), 자기통제(단서자극의 변별-지각), 직면과 노출(역조건화, 양립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직면), 체계적 둔감법

  - 내적상황: 동기, 감정, 욕구

  - 외적상황Se, 내적상황Si → 다음 과제부터 생각기록지와 함께 기록

*** S 탐색시 어려움: 내담자의 판단 개입, 장황한 말(중단시키기), 구체적인 상황에 머물기


** C: 결과행동

    - 강화요인: 기능적인 파악

    - 장/단기적 강화, 내적/외적 강화, 정적/부적 강화


* 수평적 분석: S → O → R → C

* 수직적 분석:

    자동적 사고: 나는 부족한 사람 

    보상전략: 괜찮은 사람으로의 인정

    핵심믿음: 인정받으려면 완벽해야해  → 우울 인지삼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 세상에 대한 부정적 생각, 미래에 대한 부정적 생각

    관련 있는 어린시절 자료: 어릴 적 인정욕구


* 문제행동과 관련된 인지과정은?

  ⓐ 주의집중, 초기 지각방향

  ⓑ 개인의 능력에 대한 평가(Beck, Bandura)

  ⓒ 귀인

  ⓓ 자기언어

  ⓔ 해석

  ⓕ 평가

  - 교재에는 ⓒ~ⓕ

  - SORC모델설정과 SORC에 기초한 가설설정


다음 과제1> 사례개념화 부분, 2장 4장 요약

다음 과제2> 생각기록지에 외적 상황, 내적 상황 포함 기록해보기

다음 과제3> 공간과 자유, 각성제, 주의집중



== 참고자료==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치료┘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49442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치료기법┘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772614


┌인지치료와 정서장애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248313


┌기분다스리기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846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