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달검사: K-CDI한국판아동발달검사, 한국형 Denver-2검사, PEP-R 교육진단검사(선생님이 쓰기 좋음), X베일리 발달검사
** 지능검사: 웩슬러 K-WISC, K-WPPSI, XK-ABC(영재센터에서 쓰는 쉬운 검사)
** 적응행동검사: 사회성숙도검사SMS, XKISE-SAB
** 정서행동검사: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CARS, 이화자폐아동행동발달평가도구E-CLAC
** 시지각 및 학력검사: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K-DTVP, 국립특수교육원기초학력검사KISE-BATT
** 정서 및 성격검사: 기질검사TCI, SCT, HTP, KFD, KSD, BGT
** 부모검사: 부모양육태도검사PAT, 부모-자녀상호작용평가MIM
* 풀밧데리 검사와 보고서 작성 ① 웩슬러 ② 사회성숙도 ③ 발달검사, 정서검사: K-CDI, Denver, K-CBCL, KPRC ④ HTP, SCT, BGT ⑤ PAT
- 대상을 선정해서, 메뉴얼을 읽고 시연, 보고서 작성
*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
** 평가의 역할 ① 대상에 대한 합당한 의사결정 ② 관련 정보를 모으는 활동
*** 관련정보: 개입 내용, 방법, 장소, 시기, 목표, 현재수준 등
*** 의사결정: 배치, 선발, 수준확인, 의뢰결정, 진단, 형성종결
** 문제해결모형 ① 문제 찾기 ② 문제 정의 ③ 대안 모색 ④ 해결방안 적용 ⑤ 문제 해결여부 결정
*** 측정과 평가활동은 각 절차에 체계적으로 적용
* 평가에 대한 일반적 가정
** 평가자의 자질 ① 표준화 검사의 절차를 따르고 ② 정확히 채점하고 ③ 결과를 해석
** 평가의 오차 ① 체계적 오류: 평가도구의 문제 ② 비체계적 오류: 평가자의 문제
- 오류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그 결과로 평가 대상에 대한 잘못된 추론을 할 수 있음
** 배경경험의 비교 가능성: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배경이 다름
^ 예시: 청각장애 - 언어성 검사 대신 동작성 검사만으로 잠재지능 평가
** 문항 표집의 적절성
- 타당도: 저자가 측정하고자 의도한 것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
- 검사 명칭을 넘어서 내용까지 확인
** 관찰된 행동의 일반화: 가능성과 한계
* 평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요인: 현재상황, 발달사, 외부요인(능력, 성격, 기능), 평가방법(표준화 검사, 면접, 관찰, 비형식적 검사)
* 심리검사 활용지침
'좋아서하는공부 > 놀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6 [놀이치료특강] 대상관계 및 애착기반 놀이치료 (0) | 2019.11.03 |
---|---|
9/19 [인지치료] 자동적 사고 파악하기 (0) | 2019.10.27 |
9/5 [재활과학론] 오리엔테이션 (0) | 2019.10.27 |
10/24 [인지치료] 문제행동분석과 문제선택 (0) | 2019.10.26 |
ASD와 RAD의 차이점 (0) | 2017.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