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하는공부/놀이심리

10/24 [놀이치료특강] 융학파 분석적 놀이치료

꼬불머리 2020. 2. 12. 17:32

주교재> 놀이치료 1. 이론과 기법편

 

* 융, 정신역동, 아들러

 : 뿌리는 하나 내용은 유사하지만 → 아이를 보는 시각 차이!

 

* 개관(Jung)

** 가정: 모든 아동은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갖고 있으며, 자신만의 고유하고 의미있는 방식으로 세상에 대처하고 있다.

** 목표: 안전의 역치를 넘어서 놀이치료실에 오게 된 모든 아동의 개인적 자유를 지원, 아동 내면의 치유자를 깨우고자 하는 것.

  의식과 무의식의 전체성 구현!

  - 전체가 되기 위해서는 자아와 자기 간의 연결층이 있어야 한다.

  - 자아-자기 축: 의식적 에너지와 무의식적 에너지 간의 상호교류

  - 자아방어가 너무 견고하여 자기로부터 분리되어 감정폭발과 함 께 기세가 꺾이는 아동에게서 건강한 자아-자기 축을 복원 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 무의식: 강력한 심리적 활동의 원천, 그 자체로 객체성을 갖는다.

  - 개인 무의식: 개인의 독특한 기억이나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억압되거나 잊혀진 것

  - 집단 무의식: 오랜 세월에 걸쳐 누적된 인간 체험의 패턴 혹은 원형의 저장소.

원형, 상, 은유, 상징, 환상을 통해 드러남

궁극적 정신의 힘, 심리적 전체성, 내적 변화의 원천

** 원형: 무의식적 청사진 혹은 원판.

  - 무의식의 가장 중심이 되는 원형이 자기Self, 자기 안의 신

 

^ vs 프로이드: 정신은 이런 것이다.

**목표: 무의식의 통찰, 해석(자유연상, 꿈분석), 증상완화

 

** 치유과정에서의 분열

  - 출생 당시 자아와 자기는 하나

  - 실제 삶에서의 여행을 시작하면서(현실↑) 자아와 자기의 관계는 분리를 겪음: 자아가 강화되어가는 과정

  - 새로움은 자아 안에 "분열"을 만들어 내고,

  - 자아는 이전에 습득한 스크립트나 도식에 근거아하 상황을 평가하고 과거의 행동 패턴을 "조절"

  - 새로운 행동을 "동화"함으로써 상황을 다룰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만들어 냄

^ vs 피아제의 조절과 동화

 

** 놀이치료사의 두 역할 ① 목격자 witness ② 담아주는 사람 holding

** 놀이치료 모델

(자아기준)

 

** 담아내기

 : 행동을 따라가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행동, 정서, 인지적으로 알려주고, 수용하고 훈육하는 모든 과정

 : 치료사의 그릇 안에 아동의 경험을 "담아"주는 것.

 : 목격하고 공유하는 것이 치료자의 역할!

 

** 영웅놀이

 : 상징, 자기에 대한 회복과정, 환희, 승리, 자기Self 발현

 

 

부교재>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제이슨의 사례)

 

* 사례형성

 - 자아방어어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제이슨

 - 치료사는 개인이 자기Self를 따른다면 의미있는 곳으로 이끌어 갈 것이라고 믿었다.

 - 제이슨의 폭력성을 치료적으로 버티거나 담아 줌으로써 보호해 주고 편안함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제이슨의 자아가 중심으로 향하도록 돕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 Self 자아 경향성

 - 메리는 제이슨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그가 고독하고, 사랑받지 않는다고 느끼고, 박해받는다고 느끼며, 부루퉁하고, 고집스럽고,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위축되어 있으며, 논쟁하려 하고, 관심을 끌려하며, 기분의 변화가 심하고, 성질을 내는 것이라고 보고 했다. 이것은 메리 자신의 우울 삽화가 시작 될 때 그녀가 직면하는 정신건강 문제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

  : 역전이, 학습, 투사

 

* 치료목표

1. 제이슨이 긍정적인 부모상을 내면화 → 테메노스. 치료사를 통해서 또 다른 성인상을 내면화 할 수 있을듯

  치료적 관계 구축

2. 상징적이고 구체적인 표현들(놀이, 피겨)

3. 담아주기

4. 부모놀이치료

5. 생태학적 놀이치료

#완전한 융, 아동중심, 어떤 이론 중심의 놀이치료는 불가능 하지 않나~

 

* 치료에 대한 설명

  -  제이슨은 모래상자에 있는 인형의 집에서 피규어를 가지고 놀고 있었다. 치료자는 그가 사람 피규어와 놀면서 행복하다고 이름을 붙인 가족 장면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관찰하였다. 치료자가 그의 격한 분노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방식을 지켜보자.

  -  치료자는 상처받고 희망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아동의 감정수준에 머물러 있다. 치료자는 아동 피구어가 갖고 있는 상처를 탐색함으로써 제이슨의 투사에 목소리를 부여한다. 이것은 제이슨의 현재 가족 상황을 그대로 나타내는 것인데,

 

* 구체적 전략

 ① 놀이치료자와 아동은 자아로부터의 요청을 포기해야 하며 신뢰와 정서적으로 안전한 치료동맹 위에 라포를 형성한다.

 ② 전이에 대한 분석. 융학파의 틀 안에서, 아동의 개인적인 과거가 치료자에게 단순히 그저 투사된 것일 뿐 아니라, 아동이 자신도 모르게 치료자에게 옮겨서 비추는 원형적 혹은 비개인적 투사이다.

 ③ 상징을 확장. 놀이중재를 통해 언어적으로 그리고 비언어적으로 보다 의식화시킴.

 

* 프로토콜 분석 p103

  치료자1: 제이슨, 그것은 네가 결정할 수 있는 일이란다. 여기서, 너는 네가 원하는 대부분의 방식으로 모든 장난감들을 가지고 놀 수 있단다. 

  → 아동에게 책임 돌려주기, 제한 설정하기(아동중심은 기본)

  제이슨 2: 그럼 여기 와서 놀기만 하면 되요? 왜요?

  치료자2: 너는 이곳에 와서 특별한 놀이시간을 갖게 되는 이유를 알고 싶어하는구나.

  → 재언급. 무조건 되풀이하는 것은 아니다.

  치료자2: 나는 걱정거리가 있거나 가끔은 화가 나고, 놀라고 혹은 뭐가 뭔지 잘 모르게 될 때 아이들에게 도움을 준단다.

  → 놀이치료의 틀 설정하기.

다른 방법? ① 관심사로 이끌기 ② 질문: 왜 온 거 같니? ③ 엄마로 부터 직접적으로 이야기 시작 ④ 마음 읽어주기

  치료자5: 네가 좋아하는 것을 하나도 찾을 수 없어서 너는 오늘 특별한 놀이시간을 그만둘 준비가 된 거로구나.

  → 아동의 방어에 대한 반응. 감정 반영. 맞섰다면 더 방어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