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즉각반향어
유형 | 기능 | 예시 | |
이해 | 상호성 | ||
X | X | 비초점 | 시선이나 동작이 사람이나 사물을 향하지 않고 발화 후에도 그 의도를 나타내는 증거가 보이지 않는다. |
X | O | 주고받기 반응 | 시선이나 동작이 사람이나 사물을 향하고 있으나, 주고 받는 순환적 반응이나 이해를 동반하지 않는다. |
O | X | 연습 | 행동을 일으키기 전에 생긴 반향어로서 직후의 동작이나 의도가 추측된다. |
자기규제 | 동작을 행하는 중에 자기가 행해야할 동작에 대해서 반향어로 말한다. | ||
O | O | 기술 | 시선이나 동작이 사람이나 사물을 향해 있고 사물의 명칭을 반향어로서 말한다. |
긍정대답 | 반향어로 긍정을 표현. 직전 또는 직후의 동작으로 그 의도가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요구 | 필요한 물건을 얻거나 하고 싶은 행동을 하기 위하여 반향어를 말하는 것으로, 허가가 주어지면 사물을 가져가거나 하고 싶은 행동을 한다. |
2. 지연반향어
이해X, 비상호 : 비목적적 기능
이해, 비상호 : 상황연상, 연습, 자기지시적, 비상호적 명명, 지키기
이해, 상호 : 발화완성, 상호적 명명, 정보제공, 부르기, 수긍, 요구, 저항, 지시적
'좋아서하는공부 >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IDD 11차 지적장애 정의 (0) | 2017.09.03 |
---|---|
자폐스펙트럼장애 교육적 중재 (0) | 2017.09.03 |
정서행동장애의 분류 (0) | 2017.09.01 |
DSM-5 우울장애 등 (0) | 2017.09.01 |
DSM-5 품행장애 (0) | 201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