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5

인지행동 놀이치료 이론과 기법

인지행동놀이치료 CBPT Susan Knell; 인지행동치료 모델을 어린 아동에게 확장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의 역사 Aaron Beck 감정-사고-행동 간의 상호작용 기분-사고/인지-행동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삼각형 사용; 인지 삼 요소 비합리적이거나 부적응적인 사고가 고통과 연관된 신념을 구성한다. 어린 아동에게는 사고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적합하다. 행동치료= 조작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형성+사회학습이론 조작적 조건형성 행동적 전략: 수반성 관리, 자기관리, 행동조성, 타 행동 차별강화, 자극쇠퇴 및 소거 인지행동치료= 인지치료+행동치료 놀이 언어적 인지행동치료는 발달 수준에 따라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인지적 과정: 환상/가상, 상징, 조직화, 확산적 사고 감정적 과정: 정서의 표..

순음청력검사 차폐 조건

6.6 차폐 방법 6.6.1 기도 청력검사 차폐 (1) 기도 청력검사시 난청이 심한 쪽을 검사할 때 자극음이 반대쪽 귀로 교차 하여 좋은 쪽 귀가 반응하지 않도록 차폐잡음을 주어 차단한다. (2) 임상현장에서 전 주파수에 평균적으로 적용되는 헤드폰의 양귀 사이의 이간감쇠(interaural attenuation) 레벨은 40 dB이며, 삽입이어폰의 경우 60 dB 이다. (3) 기도 청력검사 차폐가 필요한지 판단은 다음과 같다. 기도 청력검사에서 검사 귀(청력이 나쁜 귀, TE)에 제시한 큰 소리가 반대 측 귀로 전달되어 비 검사 귀(청력이 좋은 귀, NTE)의 기도 혹은 골도로 이를 들을 수 있다면 차폐가 필요하다. 즉 검사 귀의 기도 역치에서 이간감쇠를 뺀 값이 비 검사 귀의 기도 역치 혹은 골도역치..

인지행동 놀이치료 개론

* Campbell 인지행동 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에게는 부적절하다 * Knell 처음 시도 * Ellis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 Beck 인지치료 1. 소개 - 1980 이후 보다 구조화되고, 직접적인 기법의 놀이치료 소개 01. 인지행동치료 * 구조적이고 개인적인 사고와 지각을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동을 변화 * 치료의 효과라는 측면에서 의문 제기 * 가설검증, 대안 찾기, 문제해결 ** 행동주의 기법 1. 부모를 통해 아동을 치료 2. 아동에게 직접 적용 - 부모-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 숙달감의 발달을 억제했거나 - 부모에게 반감을 갖고 있는 아동에게 효과적 * 놀이 내용 속에서 행동적 기법 사용: 숙달감 획득 → 자기관리 수준 향상 → 행동을 규정하는 학습에 대한 흥미 향상 → 효과적으로 ..

청각장애와 초분절적 요소(feat. 준언어, 언어요소)

* 초분절적 요소 : 억양, 강세, 리듬과 같은 운율의 개념/ 음성의 음도, 음량, 음질, 공명 특징도 포함될 수 있음 ** 음도: 주파수와 관련되어 '음 높이'로 해석. 주파수가 증가하면 음도도 증가했다고 느낀다. 주파수는 기계로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하지만, 음도는 청자의 판단에 의존하여 측정한다. 청각장애인은 음도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다(높은 편이 더 많다). 가성발성, 음도일탈, 이중음성의 문제. ** 음량: 물리적인 '소리 세기'를 인식하는 청자의 느낌. 청각장애인은 음량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커서 적절하지 않거나,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심한 변이를 보인다. ** 음질: 바람 새는 소리, 쥐어짜는 소리, 거친 소리, 발성 일탈 문제. ** 공명: 음원에서 생성된 소리 에너지가 성도를 통과할..

추체이영양증과 망막색소변성

추체이영양증은 망막 중심부(원추세포)의 손상으로 - 색맹과 안구진탕이 나타난다. - 밝은 빛에서 강한 수명을 느낀다. - 망막 중심부의 손상으로 (원거리) 상을 보기 어렵다. 실내에서는 - 상대적 거리 확대법(책상, 독서대)와 - 투사확대법(확대독서기) 등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커튼, 블라인드 등으로 낮은 조명을 유지해 준다. 실외에서는 눈부심을 조절하기 위해 - 안경, 모자 등이 유용하다. 망막색소변성은 - 터널시야와 야맹증이 나타나지만 - 사실상 모든 시세포에 장애를 가지고 있다. - 주변부터 중심부로 손상이 진행된다. - 시력변화를 기록해야 한다. - 유전이다. 실내에서는 - 대비(굵고 진한 선, 검정 사인펜, 노란색 아세테이드지)를 높이고 - 적절한 조명을 유지하여 눈부심도 잘 보이지 ..

행동주의 놀이치료 개론

(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132~149) * 행동수정, 행동치료 - 개인의 행동을 변화 - 행동변화에 도달하기 위해서 현재 하고 있는 행동부터 목표행동까지의 단계를 확실하게 거치도록 - 행동지향적인 방법 1. 이론적 배경 * 정신분석적 접근에 대한 반작용 * 1950~1960 초반 - 1950 후반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 - 1970 심리치료와 교육학의 중요세력 - 1980 전통적인 학습이론을 넘어 새로운 개념과 기법, 감정에도 관심 * 세 영역: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인지치료 - 고전적 조건형성: Pavlov, Watson 흰쥐실험, Wolpe 공포치료, Hull 학습이론 - 조작적 조건형성: Skinner 학습이론 - 인지치료 01. 인간관 * 관찰할 수 있는 외현적 행동 분석 * 환..

9/19 [놀이치료특강] 아동중심 놀이치료

Q. 기존의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사고? * 따라가주는 게 아동중심은 아니다. 0. 어떻게? 방법? 기본은 어디? 1. 아동중심은 무엇인가. 2. 기법들: Here and Now, 이것 저것 그것 - 이론 바탕 A. 생각의 변화 - 힘이 있는 아동은 스스로 변화한다. 온전히 아동에게 매체와 환정을 주어주는 치료사의 공감과 수용 → 수동적? 정서 아동에게 맞춰진 치료? - NO. 치료사의 이해력이 높아야 한다 A. 부모들의 선입견 -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시끄러운 치료? 무엇을 치료? 놀면 되는 것 아닌가? 무조건적 신뢰? → 프로토콜의 이해와 설명 필요 A. 앞서나가지 않는 미묘한 반응들 A. 이것 저것 그것: 명칭생략은 상상력을 더한다. A. 아동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다. 생존 본능에 의해 심지..

인본주의 놀이치료 개론

(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150~167) * Axline의 [딥스] * 비지시적 상담이론, 인본주의, 인간중심 - 인간이 내부로부터 어떻게 느끼는지 이해 - 정신분석은 성장과 자유선택에 대한 인간의 역량을 너무 비판적으로 본다 - 행동주의는 인간을 전적으로 외부 환경에 의해 통제되는 것으로 보았다 - 인간은 지금까지 인식되어온 것보다 훨씬 더 자유롭고 창조적인 존재이며, 인간에게는 성장과 자아실현을 위한 역량이 있다. 1. 이론적 배경 01. 인간관 * 인간은 실현을 향한 자연스런 내적 경향성이 있다. 인간의 실현 경향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아실현 경향성이다. 02. 성격의 구조 * 정신분석이론 만큼 광범위하게 성격이론에 기초하지 않는다. ** Roger: 인간의 동기는 자아 실현 또는 성장을 ..

의도성(행동원인 추론)

(놀이치료 개론 개정판 p.94~99) * 의도성: 어떤 일을 하고자 하는 욕구와 실제 행동을 인과적으로 매개하는 내적인 마음의 상태 ** 어린아동은 행위의 객관적 결과로 도덕 판단, 더 나이든 아동은 행위를 수행한 사람의 의도성과 동기에 근거하여 도덕판단(컵 1개를 의도적으로 깬 경우와 컵 10개을 깬 경우의 비교). * 단계(Selman) 의도성의 구조 적합한 놀이치료 수준 0 물리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간의 혼란 수준 1 행동을 동기의 탓으로, 심리적 인과관계와 물리적 인과관계의 구분 행동과 결과 간의 우연성을 확인, 원인과 결과의 연결, 원인적 사고 촉진을 위한 문제해결 경험 포함; 네가 ~행동을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수준 2 자신의 동기를 다른 사람에게 숨길 수 있음을 인식 자아관찰,..